[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서울시가 역사와 정체성을 담고 있는 세운상가 일대 도심전통산업, 생활유산인 을지면옥 등 오래된 가게(노포)의 보존에 나선다.
시는 현재 진행 중인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을 이 일대 도심전통산업과 노포 보존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올해 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한다고 23일 밝혔다.
역사문화자원에 최대한 보존 원칙을 지켜왔음에도,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 계획이 ‘역사도심기본계획’ 상의 생활유산을 반영하지 못한 채 추진됐다고 시는 판단, 지금이라도 정비계획에 반영해 보존한다는 입장이다.
또 이번 일을 계기로 향후 정비 사업에선 서울의 역사와 시민 삶을 담고 있는 유무형 생활유산은 보존을 원칙으로 지켜 나갈 방침임을 밝혔다.
시에 따르면 도심전통산업이 밀집된 세운상가 일대는 전후 한국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상대적 경쟁력 상실을 겪어 대부분 업체가 영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서울시는 1979년부터 이 일대를 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 2009년엔 남북 녹지축 조성과 주변지역 개발을 위해 세운상가군을 철거하고 주변 8개 구역 대규모 통합개발을 추진하는 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러나 사업추진과정에서 통합개발에 따른 산업생태계 교란, 옛 도시조직 훼손, 생활터전 붕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해 2014년 촉진계획을 변경했다.
우선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세운3구역 내 생활유산으로 지정된 을지면옥, 양미옥 등은 중구청과 협력해 강제 철거되지 않게 할 예정이다.
또, 공구상가가 밀집된 ‘수표도시환경정비구역’은 현재 중구청에 사업시행인가 신청된 상태지만, 공구상가 철거에 따른 산업생태계 훼손 우려가 커 종합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사업 진행을 중단키로 했다.
서울시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수표구역 내 보전할 곳과 정비할 곳에 대한 원칙을 정해 실태를 조사한다.
또 소유주 및 상인, 시민사회단체, 관련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올해 말까지 세운상가를 포함한 도심전통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중구 인쇄업, 가구‧조명상가, 종로 쥬얼리, 동대문 의류상가‧문방구 등 집적된 전통 도심제조업 산업생태계에 대한 도심제조·유통산업 육성방안을 세운다.
도심제조·유통산업 육성방안의 주 내용은 △도심제조·유통산업 밀집지 생태네트워크 등 현황조사 연구 △유통시스템 고도화, 홍보 콘텐츠 지원, 환경개선 등 도심제조업 육성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도심 내 공공부지 활용한 대체부지 확보 및 상생협력 임대상가 공급 △영세 제조산업 환경오염방지 대책 마련 및 공동작업장 지원 등이다.
영세 전통상인에 대한 대책으로는 임시상가 우선공급, 사업 완료 후 상가 재입주, 우선분양권 제공 등 기존 대책을 강화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의 역사와 지역 정체성을 담고 있는 노포(老鋪) 등 생활유산과 도심전통산업을 이어가는 산업생태계를 최대한 보존하고 활성화하는 것이 서울시의 기본방향”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소중한 생활유산들은 보존을 원칙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