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지원에 537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발표한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과 연계해 전통시장 사회간접자본(SOC)을 확충하고 복합청년몰 등 지속 성장이 가능한 상권을 육성하는 데 올해 전통시장 지원의 중점을 두겠다고 16일 밝혔다.
중기부에 따르면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와 주차환경 개선 사업 등에 266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지난해보다 1616억 원 늘어난 5370억 원을 올해 투입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우선 올해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에 1423억 원, 시설 현대화에 1236억 원을 투입한다.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이 가장 불편함을 호소하는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차장 보급률을 2022년까지 10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올해에는 주차장을 새로 건립하는 45곳을 포함해 개보수 등 109곳을 지원한다.
또 124억 원을 들여 전국 16곳에 전통시장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게스트하우스나 빈 점포를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후한 전기설비도 개선해 안전을 강화할 방침이다. 온누리 상품권 발행 규모도 1771억 원으로 늘린다.
복합청년몰도 금년부터 입지제한을 완화해 지역커뮤니티 연계를 강화하는 등 영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이에 폐공장, 농협창고, 폐극장 등을 활용한 테마형 청년상점가를 조성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기업형·조합형 공동창업, 창업전문기업 연계 창업보육센터형 청년몰 등 신개념 청년몰을 도입한다.
특히 청년 상인에게는 ‘백종원식 컨설팅’을 도입하고, 성공 상인의 경영·노하우를 전수하는 등 사후 지원도 확대한다. 이는 전통시장 상인이 필요한 사업을 기획하고 지원받는 상인주도형 체제로 전환해 지원한다.
중기부는 특히 내역사업간 예산 칸막이 제거, 수요자 필요에 따른 서비스분야 및 수행기관을 선택하는 시장경영 바우처 지원사업을 도입한다. 바우처 지원사업은 전통시장이 주어진 바우처 한도 내에서 자율적으로 필요한 지원사업을 선택, 운영하는 방식이다.
특성화시장 육성사업은 기존 하향식 방식을 탈피, 상인과 고객이 주도하는 상향식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편하고 사업성과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후관리 등급제’를 시행해 결과물의 유지·관리 실태, 지자체와 상인회의 지원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이후 사업 참여를 우대하거나 제한할 방침이다.
중기부는 이런 내용의 올해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12회의 지역 순회 설명회를 오는 23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전통시장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쇼핑 환경을 제공해 고객 유입 증가→매출증대→지역 일자리 증가로 이어지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선순환 구조가 완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