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 문화 > 영화·공연&도서

헝가리 국민오페라 ‘반크 반’ 17일 한국 최초 공연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열려…예술문화교류 신호탄

박나리 기자   |   등록일 : 2019-01-15 15:10:10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반크 반 포스터/자료=대구오페라하우스]

오는 17일 헝가리 국민오페라 <반크 반 Bánk bán>이 한국 최초로 공연된다. 

15일 재단법인 대구오페라하우스에 따르면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30주년을 기념하는 첫 공식행사이자 헝가리 국립오페라극장과의 상호 교류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은 헝가리 현지의 실력파 주역과 오케스트라, 합창단을 초청하여 오페라 콘체르탄테 형식으로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이번 공연에 이어 4월, 자체 제작한 창작 오페라 <능소화, 하늘꽃>을 콘체르탄테 형식으로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더불어 문화예술 교류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기대하고 있다. 

헝가리 국민오페라 <반크 반>을 만나는 단 한 번의 기회

<반크 반>은 헝가리 국민음악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작곡가 에르켈 페렌츠 Erkel Ferenc가 작곡한 헝가리 창작 오페라로, 헝가리 민족극으로 잘 알려진 요제프 커토너 József Katona의 희곡 <반크 반>을 바탕으로 베니 에그레시 Béni Egressy가 대본을 써서 완성한 작품이다. <반크 반>의 줄거리는 13세기 헝가리의 반크 장군이 왕비를 시해했던 실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희곡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식의 예술작품으로 재탄생하며 범국민적인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오페라 <반크 반>은 헝가리에 방문한다면 반드시 관람해야 할 ‘헝가리 국민오페라’로 손꼽힐 만큼 헝가리 국민에게는 친숙하고 유명한 오페라다. 이번 교류를 계기로 현지 프로덕션으로는 아시아 처음으로 대구에서 공연하며 지역 관객뿐 아니라 오페라 애호가들에게 헝가리 공연 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독일 브레멘극장 수석지휘자(1987~1995)와 독일 트리어극장 음악감독(1995~2008) 등을 역임한 헝가리 지휘자 이쉬트완 데네쉬 Istvan Denes가 지휘를 맡은 이번 공연에는 헝가리 국립오페라극장에서 챔버가수상(2017~18시즌)을 수상한 테너 라솔로 볼디자르 László Boldizsár, 현지 공연에서 동역으로 열연했던 바리톤 바코니 마르셀 Bakonyi Marcell, 특히 제16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오페라 콘체르탄테 <살로메>에서 헤로디아스 역으로 열연한 메조소프라노 일디코 콤로시 Ildiko Komlosi 등 현지의 실력파 출연진들이 대거 내한해 헝가리 오페라 본연의 음악성 및 예술성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헝가리 국립오페라극장 소속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대구오페라하우스의 상주단체인 디오오케스트라와 메트로폴리탄오페라콰이어와 협연할 예정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문화예술 교류를 이끌어 낼 것으로 보인다.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향하는 한국의 창작오페라 <능소화, 하늘꽃>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양국 수교 30주년의 역사적인 시작을 알린 이번 <반크 반> 공연에 이어 4월 창작 오페라 <능소화 하늘꽃>으로 헝가리 국립오페라 에르켈 극장에 진출한다. 2017년 제15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의 폐막작이자 한국적인 정서를 가득 담은 창작오페라 <능소화 하늘꽃>은 재단에서 자체 제작한 프로덕션으로, 대구오페라하우스가 캐스팅한 성악가들이 헝가리 국립오페라극장 소속 상주단체와 협연한다.

배선주 대구오페라하우스 대표는 “한국과 헝가리 수교 30주년을 기념한 이번 공연예술 상호교류 및 협연은 물적·인적 차원의 교류에서 한 걸음 나아간 정서적 차원에서의 교류라고 말할 수 있다”며 “이번 양국의 공연교류가 극장과 극장 간 교류로 정착되고, 나아가 관객에게 더욱 훌륭한 공연을 선보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