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백지화하기로 했던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3, 4호기’의 건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1일 한국원자력산업회의가 개최한 원자력계 신년인사회에서 참석해 “국내 신규 원전 건설 중지로 원전 기자재 공급망 붕괴가 현실화하고 있다”며 “원전의 안전한 운영과 수출을 위해선 원전 기자재가 지속적으로 공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배치되는 입장이면서, 여당 중진 의원이 공식석상에서 내놓은 발언이라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송 의원은 “원전 1기는(원전 1기의 경제적 효과는) 약 50억 달러에 달해 수출 시 중형차 25만대나 스마트폰 500만대를 판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며 “노후 원전과 화력발전소는 (건설을) 중단하되 신한울 3·4호기 공사는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원자력업계가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 하다 보니 여러 가지 힘이 빠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원전 정책이 곧바로 탈원전으로 가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오래된 원자력과 화력을 중단하고 신한울 3·4호기와 스와프(교환)하는 방안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송 의원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배치된다는 논란에 대해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하면) 매몰비용이 7000억 원이 든다”면서 “원전산업 공백 기간을 메울 수 있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며 “다시 여러 가지를 검토해 원자력 산업 생태계가 발전하고, 다가올 원전 해체 시장에서도 대한민국 원자력 산업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게 관심을 갖고 뒷받침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탈원전’ 정책에 따라 지난해 신규 원전 6기 건설을 백지화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송 의원의 발언에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시대의 변화를 잘못 읽은 적절치 못한 발언”이라며 비판했다.
우 의원은 지난 12일 자신의 SNS를 통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전환은 전혀 급진적이지 않다”며 “지금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전환은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노후 원전은 수명 연장 없이 폐쇄하는 것으로 2083년까지 2세대, 60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아주 천천히 진행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탈원전 정책이) 장기적으로 소프트랜딩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는 얘기에 동의할 수 없고, 노후화력을 대체하기 위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발언에도 동의할 수 없다”며 “노후 화력발전소가 문제이니 다시 원전으로 가자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전혀 읽지 못하는 주장”이라고 꼬집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