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안전특별조사단의 점검모습/자료=경기도]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경기도가 한 해 동안 다중이용업소 등 근생·복합건축물과 화재취약시설 7만6167개동에 대한 2단계 화재안전특별조사를 실시한다.
11일 도에 따르면 이번 화재안전특별조사는 지난해 1월 발생한 밀양 세종병원 화재 후 실시된 국가차원의 안전점검이다. 도는 지난해 7월9일부터 12월31일까지 다중이용업소가 포함된 근생·복합건축물, 요양병원, 노유자시설 등 4만3340개동을 대상으로 해당 조사를 실시했다.
올해는 186억 원의 예산을 들여 소방, 건축분야 등 공무원 218명과 전기안전공사 11명, 전문자격보유 보조인력 330명 등 559명을 투입해 특별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내용은 △건축, 소방, 전기, 가스시설 등 물적 요인 △이용자 특성, 안전관리이력 등 인적요인 △소방서와의 거리, 관할 소방서 역량 등 환경적 요인 등이다.
도는 불량정도에 따라 시정조치, 개선권고, 의법 조치하고 위험성 평가와 소방 활동을 담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조사결과를 공개해 도민이 각 건물의 안전도를 파악하도록 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는 4만3340개동에 대한 1단계 화재안전 특별조사결과, 불량은 63.2%인 2만7390동, 양호는 33.4%로 나타났으며, 휴·폐업은 3.4%였다.
이에 도는 불량 사례 중 피난계단 방화문 철거, 수신기 전원차단 등 중대위반 209건에 대해 입건 7건, 과태료 180곳, 시정조치 등 행정명령 76곳, 건축법 위반내역 기관통보 20곳의 행정조치를 했다. 나머지 13만6246건은 20~30일의 시간 안에 자체 개선토록 조치한 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