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국민 주거안정’ 전국 노후공공청사, 임대주택으로 개발

어린이집·주차장·주민센터 등 SOC 확충…일자리·도시재생 기대

박슬기 기자   |   등록일 : 2019-01-09 17:57:45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노후 공공청사 임대주택으로 개발/자료=국토교통부]

[도시미래=박슬기 기자] 정부당국이 국민주거안정과 공공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전국 지자체 노후 공공청사를 임대주택 개발에 착수한다.

국토교통부는 2018년 도심에 위치한 지자체 소유(공유재산)의 노후 공공청사를 공공임대주택과 청사 등으로 개발하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사업’의 전국 8곳 1167호 주택건설 사업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도심 내 좁고 노후된 공공청사 등에 공공임대주택과 신청사, 주민편의시설 등 복합용도로 개발한다. 

9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 사업은 임대수요가 풍부한 도심 내에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하고 시설 노후화로 이용이 불편한 청사 등을 재건축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여러 주민편의시설을 건설해 공동체 회복, 낙후지역과 구도심의 도시재생효과도 노린다. 

국토부는 2022년까지 1만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선도·공모사업으로 전국 42곳 6300호를  선정해 추진 중이며, 2018년부터는 사업 희망 지자체는 언제든 신청이 가능하다. 

이번에 사업계획을 승인한 곳은 2017년 선도 사업에 선정된 울산신정 등 5곳을 포함해 총 8곳 1167호다 

이 중 울산신정은 노후어린이집을 재건축해 보육환경을 개선하고 인근 신정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영주차장(90면)을 확충하며, 행복주택 100호를 건설한다. 

제주 일도이동은 낡은 일도이동 주민센터를 재건축해 주민센터와 행복주택 120호를 건설하며, 공영주차장 189면도 조성한다. 

사업계획 승인지역 8곳은 올해 착공해 2021년부터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도심 내 청년층 주거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정읍시 수성동과 포항시 중앙동은 도시재생뉴딜 사업 대상지로 젊은층 인구유입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본격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사업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지자체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