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이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에 반영된다.
19일 행정안전부는 기존 지방세시스템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전면 재구축하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770만 명에 이르는 지방세 납부서비스 ‘위택스’와 자치단체 세무공무원 2만여 명이 사용하는 기존 세무행정시스템이 지난 2005년 구축 이후, 약 13년 만에 전면개편 되는 것이다.
행안부는 노후화된 지방세시스템의 전면개편을 위해 2017년 BPR/ISP 수행, 2018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BC: 1.06> 1, AHP: 0.63> 0.5)를 완료하고 2019년∼2021년까지 총 1668억 원을 투입해 현행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가동할 예정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은 우선 납세자별, 지역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해 편의가 강화된다. 복잡한 지방세 신고서식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자동채움 서비스가 도입돼 스마트냉장고·TV 등을 통해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다. 세무대리인 전용 페이지 등 납세자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지능형 업무 환경이 제공돼 자치단체 세무행정 역량도 강화된다. 단순·반복되는 수기고지서 입력이 사라지고 전자서고 구축으로 종이 없는 지방세 업무환경을 제공한다. 사무실과 현장을 오가며 처리해 오던 조사업무가 이제는 스마트기기로 현장에서 조사가 이뤄진다.
통합된 지방세 정보를 바탕으로 체납모니터링 등 첨단탈세에 대응하고 공간정보를 활용한 입체적 세원분석도 가능케 되다.
개별 운영되던 전국 세무행정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해 효율적 자원 공유로 예산을 절감하고, 지역 간 세정격차도 줄인다는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 세정업무 처리와 과학적 정책결정 지원이 가능해져 첨단 납세편의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