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정범선 기자] ‘집 걱정 없는 경기도’ 실현을 위해 경기도가 오는 2030년까지 총 140만호 주택이 공급된다.
도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30 경기도 주거종합계획’이 경기도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통과, 확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주거기본계획은 경기도 주거정책의 기본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기 위한 계획으로 ‘주거기본법’에 따라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도는 이 계획에서 △사각지대 없는 공정한 주거지원 △균형잡힌 주택공급 △스마트한 주거지 관리 △시·군과 함께하는 주거정책 등 4대 정책방향을 세우고 10개 추진전략과 34개 추진과제를 채택했다.
‘사각지대 없는 공정한 주거지원’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62만호 공급과 경기도 주도 공공임대주택 공급률을 40%까지 확대한다.
‘균형잡힌 주택공급’을 위해서는 택지관리 모니터링을 통한 적정한 주택공급 유지, 지역별 균형적 공급 유도, 친환경 스마트 주택단지 시범조성 등을 추진한다.
‘스마트한 주거지 관리’를 위해 노후 공동주택 환경개선사업, 노후 저층주거지 도시재생사업, 기존 주택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동네관리소 설립과 운영을 지원한다.
‘시·군과 함께하는 주거정책’ 과제로는 경기도 역할 강화와 정책지표 모니터링, 주거복지기금 등 재정지원 확대, 시·군과 협의체 구성 등의 내용을 담았다.
도는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주거종합계획에 적극 반영해 줄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주거권은 우리 모두가 누려야 할 헌법적 권리로, 정부와 적극 협력해 경기도가 공정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