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헬스케어부터 계약, 전자투표까지…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블록체인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양한 학회, 세미나 등 사업화를 위한 여러 시도들이 공공과 민간에서 활발하다. 한국블록체인학회에 따르면 현재 공공서비스, 의료, 유통 및 행정 및 정치에까지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스마트계약으로 모든 공공 및 행정 서비스가 투명해 질 수 있게 하는,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미래의 핵심 기술로까지 평가되는 상황이다.
정치적으로는 블록체인이 투명성과 익명성을 갖기에 전자 투표에 응용되면 투표의 행정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지고, 민의를 직접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도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또 정부는 부동산 거래에 필요한 서류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회도 해당산업 육성을 위한 관련 법안마련을 준비중이며, 지난달에는 2018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컨퍼런스(GBPC)를 국회에서 개최하기도 했다.
의료기술 내지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 것이라는 기대로 국내외 업계 관계자들의 활동과 교류도 활발하다. 현재 세계각국은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의료의 질을 높이는 연구 중이다. 단, 환자의 의료적 정보는 극히 민감한 개인정보이기에 정보보호 문제가 중요한 이슈다. 이런 상황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새 혁신의 길을 찾을 수 있다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실제 유럽연합(EU)의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법안은 의료적 개인정보를 개인이 의료기관, 임상 기관에 넘길 때 개인 동의가 있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최근 우리나라도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민간 기업이 동의 없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모색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사회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하게 반대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지난 17일 한국을 방문한 쿠즈메스카스 심플리바이탈헬스 CEO는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동의했는지 여부를 영구적인 기록으로 남길 수 있기에 EU의 GDPR 규정을 효율적으로 준수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당매체를 통해 “앞으로는 결국 환자 개인이 본인의 의료 데이터를 소유하고 누가 본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 스스로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누가, 왜, 얼마나 오래 데이터에 접근했는지 기록으로 남겨야 하는데 블록체인으로 기록하면 수정할 수가 없어 신뢰할 만한 기록을 남겨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블록체인은 관련 핀테크 및 모바일 뱅크 기술, 문서 및 개인 정보 보호 인증기술, 사물인터넷 정보관리 기술, 의료정보 처리 기술, 전자투표 기술, 유통 및 행정 정보 처리 기술, P2P 자산 저장, 처리 및 전송 기술 등 다양한 응용 분야 등에 관한 연구, 모델링, 아키텍처 제시 및 교육을 위한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학술 교류, 기술 개발 및 협력 등이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