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우수관리소장 ‘명인 인증제’ 도입

관리소장 발굴·인센티브로 자부심으로 일하는 분위기 조성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8-11-08 08:20:05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 조미진 기자] 서울시가 연내에 성과가 우수한 공공임대주택 관리소장을 선정해 ‘명인’으로 지정하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관리 명인 인증제’를 새롭게 시작한다. 

8일 시에 따르면 ‘명인 인증제’는 공공임대주택 우수 유지·관리, 입주민 공동체 활성화와 분쟁해결에 앞장서고 주민 민원해결에 적극 나서는 등 우수한 주거서비스 제공을 위해 애쓴 관리소장을 발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다. 자부심과 의욕을 갖고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입주민 주거복지서비스 향상이 그 목적이다.
 
‘명인’으로 선정된 관리소장에게는 서울시장 표창이 수여된다. 공공임대주택 관리업체 선정 시 명인이 포함된 업체에 가산점 5점(총 100점 만점)도 부여해 임대주택 수탁 관리에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관리업체는 우수 관리소장을 스카웃하고, 관리소장은 프로의식을 갖고 더욱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궁극적으로 저소득층 입주민의 주거복지서비스도 높아질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는 매년 명인을 뽑을 계획이다. 대상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위탁 관리하는 공공임대주택 444개 단지(15만361세대) 관리소장 444명이다. 4단계의 심사를 거쳐 총 5명 내외로 선정할 예정이다. 

SH공사 주거복지센터가 자체 발굴하거나 임차인대표 등이 추천한 관리소장에 대해 입주민 설문조사, SH공사 평가, 전문가로 구성된 서울시 심사위원이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4개 분야(공동체 활성화·일반관리·시설 유지관리·시책이행), 49개 항목을 평가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명인 인증제 도입으로 공공임대주택 관리에 우수 인재가 유입돼 입주민들의 주거복지 서비스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2022년에는 공공임대주택이 46만 세대까지 증가하는 만큼 ‘명인’ 제도를 활용해 임대주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연관기사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