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 사업구조/자료=서울시]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서울시가 국토교통부와 함께 사회주택 전용 토지뱅크인 ‘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를 전국 최초로 설립한다.
25일 서울시는 사회주택 토지뱅크를 설립해 주거 대안으로 떠오른 사회주택 공급 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2019년까지 총 1200억 원을 국토부와 공동으로 투자해 1200호를 추가로 공급한다는 목표다.
토지뱅크는 개별적으로는 개발하기 어려운 민간 유휴토지와 공공토지를 미리 확보해 관리하는 방식이다.
시에 따르면 사회주택은 주변 시세의 80% 이하의 부담 가능한 임대료로 최장 10년간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임대주택의 한 유형이다. 주거뿐 아니라 카페, 공동세탁실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함께 조성돼 서울의 높은 주거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청년층에게 특히 선호도가 높다.
사업 방식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국토부 산하 주택도시기금이 1대2로 공동 출자해 리츠를 운영한다.
리츠가 사회주택 건설에 사용될 토지를 매입한 뒤 사업자(사회적경제 주체)에 30년간 저리(연 2%)로 임대하면, 주거 관련 협동조합·사회적기업·비영리법인 등이 주택을 건설해 청년·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한다. 시는 지금까지 총 936가구를 공급했으며, 이 중 50% 가량은 입주를 완료했다.
시는 우선 연말까지 300억 원을 투입해 사회주택 300가구를, 내년에는 900억 원을 투입해 900가구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한편 서울시는 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가 공급하는 토지에 사회주택 사업을 시행할 사회적경제주체를 오는 12월14일까지 공개모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