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국정감사 시즌이 돌아오면서 올해 역시 건설사 경영진들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등 건설업계가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각 상임위원회는 잇달아 건설사 경영진들을 증인으로 채택하고 있는데, 일부 건설사는 두 곳 이상의 위원회로부터 출석요구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10일 정부에 따르면 올해 주요 대기업 건설사 대표들이 대거 국감 증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영호 삼성물산 사장과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 박상신 대림산업 사장, 김형 대우건설 사장, 임병용 GS건설 사장, 김대철 HDC현대산업개발 사장, 이영훈 포스코건설 사장, 하석주 롯데건설 사장, 안재현 SK건설 사장, 성상록 현대엔지니어링 사장 등이 국감장 증인으로 소환될지 관심이다.
주요 건설사 관계자들의 소환 사유 중 하도급 문제가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림산업은 지난 3월 한수건설을 상대로 한 하도급법 위반 혐의로 공정위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900만 원을 부과받은 바 있다. 올해 역시 임병용 GS건설 사장과 윤길호 계룡건설 부사장도 각각 하도급 관련 증인, 하도급 및 공정위 퇴직자 재취업 문제 관련 증인으로 채택돼 이목이 집중된다.
대형 건설사의 사회공헌재단 기금 조성 약속 이행 부진, 재건축 비리문제 등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2015년 4대강 담합 사건과 관련해 건설사들의 사회공헌재단 기금 조성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 부진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당시 정부가 건설사들의 신규공사 입찰 제한을 추진했는데, 건설사들은 이를 사면받기 위해 2000억 원 규모의 사회공헌재단을 조성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인 출연액이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산업 사회공헌재단 출연 이행금은 62억 원가량으로 목표 금액의 3% 수준이다. 지난해 국감에서는 정수현 현대건설 전 사장과 임병용 GS건설 사장, 강영국 대림산업 부사장, 조기행 SK건설 부회장 등이 4대강 사업 담합건과 관련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다.
라오스댐 붕괴사고 책임 문제도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SK건설은 시공중인 라오스댐 붕괴사고 때문에 올해 조사를 받았다. 이에 안재현 SK건설 사장은 기획재정위원회 정의당 심상정 의원에 의해 국감증인으로 채택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