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반시설 현황(도로시설물)/자료=서울시]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1970~80년대 집중 건설된 서울 도시 인프라가 노후화되면서 10년 뒤면 30년 이상의 인프라 비율은 61%에 달하게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시설물 관리에 첨단기술을 접목한 ‘노후 인프라 선제적 관리체계’를 만들어 본격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중장기적·선제적 대응으로 전환해 시민안전과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래된 다리, 차도, 터널, 상하수도, 지하철 등에 대한 안전 점검과 대책을 미리 세워 사고도 예방하고 보수비용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2020년까지 시설물별 최적의 중장기 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교량 358개소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30년까지 선제적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한 결과, 초기에는 투입예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2025년부터 점차 감소해 2030년까지 8287억 원의 관리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시는 시설물별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한 통합기준 매뉴얼 수립을 추진, 올해 8월부터 ‘기반시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용역을 진행 중이다.
통계 위주로만 활용됐던 관리 시스템을 시설물별로 과거 세부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분석해 유지관리 시점 및 중장기 필요비용 등을 도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의 노후 가속화로 인해 안전 및 경제적 부담은 점차 증가할 것”이라며 “선제적 유지관리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관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