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김현우 기자] 서울의 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한 도시재생지역 9곳이 확정됐다.
27일 서울시는 최근 근린재생일반형 5곳, 주거환경개선사업 후보지 4곳 등 도시재생지역 9곳을 최종 확정, 발표했다.
후보지는 모두 저층주거지 재생사업 지역으로 근린재생일반형은 5년 간 지역 당 총 100억 원이 지원된다. 강동구 성내2동 동작구 사당4동 강북구 인수동과 성동구 성수동, 도봉구 도봉동 등 5곳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 후보지는 주민 동의 50%를 확보해야 사업 추진이 가능한 지역으로 3년 간 지역 당 20~40억 원 내외가 지원된다. 은평구 신사동과 성북구 정릉동, 구로구 개봉동, 중랑구 면목동 일부 지역이다.
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9개 지역에 5년 간 총 600억 원 내외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한다. 단, 향후 부동산시장 과열 조짐이 나타나는 경우 활성화계획 승인을 보류하고 사업 추진시기를 조정하거나 선정을 취소한다.
이번 서울형 도시재생 신규지역 평가 및 선정은 도시, 건축, 공동체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외부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주민모임 역량 및 주요활동실적, 자치구 지원계획, 지역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시는 오는 10월 중 공모를 통해 2019년도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준비단계인 ‘2018년 희망지사업 대상지’ 15개 내외 지역을 선정한다.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지역들도 다시 응모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