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2019 예산안] 나라 살림 ‘4대 편성’ 집중분석②

혁신성장 통한 경제 활력의 제고

한정구 기자   |   등록일 : 2018-08-30 13:09:0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2019년 예산안, R&D에 사상 첫 20조 돌파/자료=urban114]

R&D 예산 첫 20조 원 돌파…AI·수소경제 지원

정부는 또 혁신성장을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이고 미래 먹거리를 적극 발굴한다. 정부가 발표한 ‘2019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연구개발(R&D) 예산은 20조4000억 원에 달한다. △2016년 19조1000억 원 △2017년 19조5000억 원 △2018년 19조7000억 원으로 꾸준히 상승한 R&D 예산은 내년 처음으로 20조원을 넘어선다.

특히 정부가 관행적 장기·계속 R&D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7000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것을 감안하면, 이번 R&D 예산 증액 효과는 더욱 클 전망이다.

정부의 내년 R&D 예산에서 주목할 점은 기초·원천기술 선제 투자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많은 예산을 투입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자율·창의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생애맞춤형 기초연구 예산을 올해 1조4000억 원에서 내년 1조7000억 원으로 확대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원천기술 선도투자 예산도 확대한다. 지능형로봇·클라우드·5G 등 기초·핵심기반기술 예산을 7000억 원에서 8000억 원으로, 스마트의료 등 융합기술 분야도 7000억 원에서 9000억 원으로 늘렸다.

또 △데이터·인공지능(AI)·수소경제 등 3대 전략 분야 △스마트공장 등 8대 선도사업 △혁신 인재 양성 등에 5조1000억 원을 투입해 플랫폼 경제의 기반도 마련한다. 

3대 전략투자 분야와 혁신 인재 양성에는 올해보다 약 82% 늘어난 1조5137억 원을 투입한다. 8대 핵심 선도사업 분야에 투입되는 내년 예산은 3조5904억 원으로 올해(2조1686억 원)보다 약 65.6% 늘어날 전망이다. 

분야별 예산은 △미래 자동차 8300억 원 △에너지산업 8800억 원 △스마트공장 1조100억 원 △스마트 팜 2400억 원 △드론 1200억 원 △바이오헬스 3600억 원 △스마트시티 1500억 원 △핀테크 100억 원 등이다.

‘창업초기→성장→도약·재창업’ 단계별 맞춤형 지원 강화를 골자로 한 혁신창업 활성화 방안도 선보였다.

6개월 미만의 기술혁신형 예비 및 초기 창업자 1500개 팀을 대상으로 최대 1억 원의 오픈 바우처를, 생활주변 아이템에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해 새로운 상품을 개발한 생활혁신형 창업자 3000개 팀에는 최대 2000만 원의 성공불 융자를 지원한다. 

해양 신산업, 도시재생 펀드에 신규 출자하고, 투융자 복합금융 융자 규모를 17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확대하는 등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모험 자본도 확충한다.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청년친화형 산업단지 13개를 조성하고, 산업단지 15곳에 산학융합형 공학관이나 기업연구소를 지어 중소기업과 연계한 R&D를 돕는다. 

구조조정 업종의 재기를 위한 지원도 이뤄진다. 조선 등 위기업종 부품기업의 업종전환용 R&D 지원에 334억 원을 투자하고, 선박 신규 건조에 대한 자금지원도 757억 원으로 확대한다.

산업구조 개편 및 혁신성장 정책자금 추가 공급을 위해 5000억 원의 산업은행 자본금 확충도 이뤄진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