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공간정보기술과 향후 국내 국가공간정보정책의 동향④

고용창출과 상생정책의 공간정보

주여정 기자   |   등록일 : 2018-06-22 19:48:5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성장전략, 일자리 중심 공간정보산업 육성

  

현재, 공간정보 전문 인력 배출 양성에만 치중 결과 실제 취업과의 연계 및 역량 강화는 미약한 실정임을 감안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성화고, 전문대, 대학원으로 이어지는 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을 확대하고 일자리 박람회 개최 등을 통해 일자리 매칭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

 

 

[공간정보 창업을 위한 패키지 지원]

 

또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구매(약 1억4000만 원 소요) 없이도 창업이 가능하도록 공간정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창업가들에게 개발 공간, 사무실 등으로 활용가능한 공유오피스를 제공하는 등 창업-준비-도약의 모든 단계에 걸쳐 창업 공간·자금·컨설팅 등 패키지 창업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타분야 신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공간정보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사이버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반기술 개발 역시 추진된다. 

 

 

[3D정밀지도(좌), 실내공간정보(우)]/자료=국토교통부]

 

4차 산업혁명을 뒷받침하는 첨단 공간정보‧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게임, 관광, 방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3차원 및 실내공간정보 등도 개방할 계획이며 센서, 카메라 등을 통해 실시간 수집되는 빅데이터의 공유, 활용을 위한 플랫폼을 조성하고 디지털 트윈 구축기술을 개발하는 등 공간정보가 자율주행차나 스마트시티 등의 신산업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협력전략, 참여하여 상생하는 정책 환경 조성

 

급격한 기술 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패러다임 전환에 발맞춰 제도 기반을 재정비하고 사업 관리체계 개선 등을 통해 공간정보 지속발전의 기틀을 마련한다.

 

[공간정보 3법 / 자료=국토교통부] 

 

정부는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공간정보 3법을 체계화하고, 공간정보 융복합 서비스 개발 활성화 등을 위한 근거규정 역시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융·복합 활용을 통해 가치창출이 이뤄지는 공간정보의 특성을 감안하여 부처·기관 간, 산학연 간, 중앙·지방 간 다방면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공간정보의 미래 수요에 대응하여 유관기관 간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고 유기적 협력체계 강화를 추진할 것이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