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정희철 기자] 인천의 도시주거환경에 대한 청사진이 그려졌다. 11일 인천시는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지난 8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내년 11월까지 진행되며 정비구역 지정대상, 정비방향과 개발지침 등을 제시하게 된다.
시에 따르면 정비기본계획에는 인천시의 특성과 도시관리 정책을 반영하고 현재와 같은 전면철거 방식의 정비사업에서 탈피해 소규모·점진적 정비방식으로 전환하는 생활권 단위의 주거지 관리방안을 담게 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주거환경관리지표, 주택수급 등 주거지의 종합적 관리를 위한 기준이 제시된다.
특히 토지이용, 밀도, 교통, 기반시설 등 전체 주거지의 관리를 위한 부문별 방향을 정하고, 주거생활권계획과 연계되는 정비사업의 실행 지침이 마련된다.
정비기본계획수립이 내년 말 완료되면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아도 생활권계획과 주거지정비지수 등 가이드라인에 따라 주민주도 재개발사업이 가능하게 된다.
재건축사업 또한 생활권계획으로 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되면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도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주거환경 정비는 전면철거 등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지역의 특성으로 반영해 보전과 재생 개념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정비기본계획을 통해 정비·보전·관리가 조화되는 다양한 주거문화를 담을 수 있는 원칙과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