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자료=경기도청]
16일 경기도는 수원시가 제출한 매산동(2), 행궁동(1), 연무동(1), 세류2동(1), 매탄4동(1) 등 5개동 6곳에 대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승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내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역은 기존 부천 7, 평택 7, 성남 17, 안양 7 등 38곳에서 수원 6곳을 합쳐 모두 5개시 44곳이 됐다.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좁은 도로와 오래된 건물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도심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도시계획으로 지난 2013년 12월 시행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각 시군이 수립하고 경기도가 승인한다.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목적에 따라 공단, 철도, 산업단지 등 경제적 기능 재생을 위한 ‘도시경제기반형’과 주거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시군은 인구와 산업체수 감소, 노후 건축물 등 도시의 쇠퇴 정도를 진단하고, 도시재생의 시급성·파급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선정하고 재생전략을 수립한다.
수원시 진단결과 42개 행정동 중 52%인 22개동이 쇠퇴지역으로 분류됐다. 시는 이 가운데 이번 6개 지역을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지정했으며, 유형별로는 일반근린형 5개소, 중심시가지형 1개소다.
수원시는 행궁동·연무동에는 역사자산 활용 및 아동·청년 맞춤프로그램 운영, 매산동은 상권활성화 및 생활환경개선, 세류2동은 수원비행장 이전 대응, 매탄4동은 주차장 조성비용을 지원하는 그린파킹과 주민 공동체 회복 등의 재생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