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지난해 신규지정 도시개발구역 32곳

전국 286곳 도시개발 시행 중…소형화 추세 뚜렷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8-04-02 18:31:1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전국 도시개발사업 추진 현황/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부터 3월 한달 간 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7년 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2일 국토부가 발표한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00년 7월 도시개발법 시행 이후 지정된 도시개발구역 452곳의 면적은 151.6㎢로 분당신도시 면적(19.6㎢)의 7.7배에 달한다. 이중 166개 사업(40㎢)이 완료되고 286개(111㎢)는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지난해 신규 지정은 32개, 지정 면적은 5.3㎢ 규모로 지정 구역 수는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던 반면, 연도별 지정 면적은 2013년 9.6㎢ 지정 이후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도시개발사업 규모의 소형화 추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가 138개 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수원, 화성, 안성 등 경기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년도 대비 약 16.6% 증가한 18개 구역, 3.0㎢가 신규 지정돼 전국 지정 건수의 과반 이상(56.3%)을 차지했다. 이외에 충남(54개), 경남(51개), 경북(40개) 등의 순으로 지역별 순위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지역은 총 14개 구역, 2.3㎢ 지정에 그쳐 전년도에 비해 지정 구역 수와 지정 면적 모두 대폭 감소했다. 지정 면적의 경우 52.9%가 감소했다.

시행 주체별로는 민간시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6.2%(254개)로 민영사업의 비중이 공영사업(43.8%, 198개)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업방식에 있어서는 수용방식이 49.6%(224개), 환지방식이 46.7%(211개), 수용과 환지방식을 혼용하여 시행하는 혼용방식이 3.7%(17개)였다.

지방공사 등 공공시행 위주의 수용방식 비중이 도시개발조합 등 민간시행 위주의 환지방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고 국토부 측은 설명했다.

개발유형별(주거·비주거)로는 주거형 면적이 주거·상업·산업 등 복합개발 형태의 비주거형에 비해 여전히 높은 비율을 유지했지만 비주거형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개발구역의 입지분석 결과 전국 452개 구역 중 233개(51.5%)가 관할 행정구역 내 도심(중심업무지구)으로 부터 5㎞ 이내에 입지하고 있고 5㎞ 이상~10㎞ 미만이 125개(27.6%), 10㎞ 이상~20㎞ 미만이 86개(19.0%)로 20㎞ 이상은 8개(1.8%)에 불과해 대부분 기존 도심으로부터 20㎞ 범위 내에서 입지가 결정되고 도심과 개발입지 간 거리는 평균 6.1㎞인 것으로 분석됐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연관기사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