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거기 가봤어? 그네, 시소 없는 생태놀이터④

Haltern, Ketteler Hof의 자연모험놀이터

전상배 기자   |   등록일 : 2018-03-30 13:30:23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굴포누리 생태체험 아이뜨락/자료=인천광역시]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우면산 도시자연공원 생태놀이터는 다목적공간과 숲, 모래놀이터, 창의적 놀이공간인 ‘친구랑’, 자연지형을 이용한 숲속 모험놀이공간인 ‘나무랑’, 가족 휴게공간인 ‘엄마랑’이라는 이름으로 목적에 따라 5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기존에 방치·노후화된 놀이터였으나 지난 2015년 새롭게 조성한 우면산 생태놀이터는 다양한 체험 및 학습이 가능하도록 조성되어 있다. 생태놀이터 이용자들에게 도심에서 접하기 어려운 산림의 동·식물 관찰과 계절별 수목의 변화에 대한 체험, 학습이 가능한 생태놀이터로 보인다.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양평어린이 생태놀이터는 나무교구가 비치되어 있고 세족장, 휴게공간 등을 포함한 다목적 공간, 진입로와 오솔길을 포함한 일반 이용공간, 숲 속 미로와 조합놀이대 및 보호자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벤치를 배치한 일반 놀이공간, 숲속 오두막, 등나무 오르기, 징검다리네트를 포함한 창의적 놀이공간으로 크게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1996년 조성 후 인공·노후화 된 놀이터였으나 지난 2016년 새롭게 조성된 이곳은 규모가 작은 만큼 계절별 감상이 가능한 수종의 선택으로 연중 생태자원 관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양화대교 남단 교차로를 포함한 차량 통행로를 인접하고 있어 이용 시, 소음이나 아동의 안전 문제점이 있다.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굴포누리 생태놀이터는 진입마당과 숲속 교실을 포함한 개방공간, 숲 놀이공간과 흙놀이 공간, 놀이기구를 포함한 모험 공간, 수생식물과 동물, 곤충 등을 관찰 할 수 있게 조성된 자연 공간, 물을 이용한 물놀이가 가능한 놀이 공간 등 크게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유수지 내 유휴 부지에 2015년 새롭게 조성된 이곳은 녹지와 수변습지를 포함한 자연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굴포누리 생태놀이터는 기후변화체험관과 생태연못, 습지와 연계하여 유형별 특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변형 생태놀이터이자 도심에서 접하기 어려운 수변생태 체험, 학습이 가능한 놀이터다.

 

이처럼 국내에도 아동들과 보호자들이 함께 접할 수 있는 생태·자연놀이터가 곳곳에 조성되어 있으나, 교육시설 내에 조성된 공간이 아니어서 생태놀이터 조성 취지에 맞도록 놀이·교육·체험에 대한 교육과 홍보, 일반 놀이터와 차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자연친화적으로 자연과 어우러지는 교육·놀이 개발에 있어 국내의 경우, 인공 구조물에 의한 교육효과 증대가 주를 이루었으나 국외의 경우, 친환경 자연구조물을 이용한 자유놀이를 권장하고 있다. 또한 교사와 보호자의 한정된 개입을 통한 자발적, 주체적 놀이와 함께 아이들의 정서, 사회성 발달과 함께 친환경적 태도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국내·외 생태 체험·학습·놀이 공간 연구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에 대해 도출할 수 있었다.

 

 

[Haltern, Ketteler Hof의 자연모험놀이터/자료=competitionline.com]

 

국내에도 국외 사례를 참고하여 인위적 공간 조성과 인공 구조물 사용을 배제하고 자연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생태 체험 공간 및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생태자원 프로그램 체험 시 인위적 학습효과 강요보다는 자발적 참여를 통한 주체적 놀이가 가능하도록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 및 보호자의 통제와 빠른 진행 보다는 한정된 개입을 통한 자유놀이를 유도해 아이들의 창의성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일시적·주말형 체험 프로그램에 의한 단기적 효과 유도 보다는 매일형 장기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자연 친화적 태도 및 정서 발달, 교육효과 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생태자원을 활용한 놀이·교육·체험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교사와 보호자 및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방법의 홍보와 생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 무엇보다 도시화에 따른 아이들의 신체적 발달의 부정적 요소를 저감하고, 아이들이 더욱더 많은 자연과 접하고 교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우리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빚진 숙제일 것이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