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 사진은 내용과 관련 없음/자료=LH]
LH공사와 한국전력이 보유한 부지에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개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2일 기획재정부와 한전, LH공사 등에 따르면, 두 공기업의 부책감축을 위해 부동산개발 등에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핵심사업 매각, 사옥매각, 예산절감 등만으로는 획기적인 부채감축이 어려운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기준 LH공사의 부채는 138조1천억원, 발전 6개사를 포함한 한전의 빚도 95조1천억원에 달한다. 두 기관의 부채 합계는 233조2천억원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부채 절반에 가까운 수치이다. 이에 LH공사는 보유부지중 혁신도시 등 개발사업으로 팔려고 내놓은 미분양 사업지와 매각이 지연되는 도시 근교 아파트 분양용지를 놓고 민간개발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LH공사는 30조원 가량의 전국 미매각 토지를 보유하고 있어 채무상환에 큰 걸림돌로 여겨져 왔다.
한국전력도 서울 강남구 본사 부지를 비롯해 대도시권역 안에 있는 부동산을 민간개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전은 보유 중인 부동산이 대부분 시내 중심가에 위치해 있어 민간참여가 기대되고, 오피스 빌딩이나 주상복합아파트 등을 고려중이다. 또한, 양재 강남지사 사옥, 안양부천 열병합 발전소 부지 등 수도권 알짜 부동산의 매각도 추진된다.
한편, LH공사와 한국전력 외에 도로공사, 수자원공사, 가스공사 등은 이달말까지 주부부처와 협의를 거쳐 기관별 부채감축계획을 기재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정부가 지정한 부채과다 12개 공공기관의 부채감축계획 중에서 LH공사와 한국전력이 핵심으로로, 다각적인 사업구조조정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