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재난안전 모자 지원/자료=포항시청]
어린이 안전교육…VR로 배우는 4D 안전체험 실시
수원시 영통구는 관내 지역아동센터 어린이를 대상으로 안전체험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다. 시에 따르면 안전체험교육은 ‘젊음과 문화, Smart 영통! 안전한 생활문화 정착을 위한 오감만족 안전체험’의 일환으로 어린이들이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올바른 대처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재난 대처 능력 강화를 위해 실시됐다.
이번 안전체험은 ‘VR 선박 탈출’, ‘4D 지진체험’, ‘소화기 시뮬레이션’ 등으로 구성돼 어린이들에게 최신 IT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놀이처럼 즐기면서도 각종 재난 발생 시의 대처요령을 배울 수 있게 했다.
반복된 실제훈련과 교육을 통해 대피행동요령을 익힘으로써 자신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어린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VR을 접하여 행동요령을 숙지, 지진발생 대처 방법을 습득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시는 전했다.
지진방재종합대책 체계적 추진필요
무엇보다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라는 위기의식이 확산되면서 지진 대응체제 구축이 더욱 시급해졌다. 지진 관련 전문가들은 경주지진은 동일본대지진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쳐 한반도 지형을 바꿔놨기 때문에 발생했으며, 앞으로도 한반도에 규모 5 이하의 소규모 지진 발생은 낮고, 규모 6 이상의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진관련 학자들과 건축공학자 등 전문가들은 일제히 지표면에서 가까운 곳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한국 지진의 특성을 지적하면서 피해 규모가 해외의 지진보다 클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특히 원전과 정밀 산업단지, 고층건물이 밀집해 있어 건물의 내진설계를 종합적으로 재점검하는 것은 물론 낮은 건물에 피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한국 지진의 특성에 따라 내진설계 기준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광주시 지진 안내 표지판/자료=광주광역시]
정부, 지진대책 마련에 총력
정부는 ‘지진방재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내달까지 부처 합동으로 ‘지진방재 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할 계획이다. ‘지진방재 개선 태스크포스’에서는 지진 대응 과정에서 제기된 실내구호소 운영, 이재민 관리, 안전점검체계 등 제도개선 사항 및 지진 관련 법령 정비뿐 아니라 재난 대응 조직·인력까지 검토해 종합적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이는 법정 계획인 ‘제2차 지진방재종합계획’을 통해 반영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내진설계 의무대상 건축물은 모든 주택과 연면적 200㎡ 이상으로 확대하고,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투자규모도 확대했다. 또한 지진 조기경보 전달체계와 지진대피소를 정비했다. 경주 지진발생 당시 행정안전부와 기상청으로 이원화 됐던 긴급재난문자 송출체계를 기상청으로 일원화했다. 지진대피소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옥외대피소 8155개소, 실내구호소 2489개소를 구분해 지정하고 각종 포털사이트 지도 및 모바일 지도앱 등에 수록해 대피소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SOC 내진 보강 시설을 2019년까지 완료해 규모 6~6.5 수준의 지진에 대한 대응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지진 대응 매뉴얼은 현장 중심으로 전환하고 국토부에서 지원 가능한 임시거처·주택자금 융자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