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현장/자료=국토교통부]
수도권 ‘지진 위험지도’ 미리 대비
지구촌은 곳곳에서 예상치 못한 각종 재앙수준의 일들이 생겨나고 있다. 미세먼지, 태풍으로 인한 폭우와 홍수, 열대야로 인한 무더위, 한파로 인한 폭설 등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동남아 쓰나미, 동일본 대지진, 경주 지진, 포항 지진, 대만 지진’ 등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진은 심상찮다. 현재 한반도는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올해 들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은 벌써 26회에 달한다. 서해안의 연평도와 전남 여수, 제주도 성산 해역 등 지역도 전국적이다. 게다가 2014년 태안에선 규모 5.1, 2016년 경주에선 규모 5.8 등 규모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포항은 지난해 11월 7번째로 큰 규모 5.4의 지진이 강타했다. 이후 3개월여 만인 올해 2월11일에 또다시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다. 서울, 인천 등 전국 곳곳에서 진동이 감지될 정도로 여파가 컸다. 규모가 컸던 만큼 수십 명의 인명피해와 건축물 피해도 잇따랐다. 빌라 외벽이 떨어지고 상수도 파열, 승강기 갇힘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접수됐다. 기상청은 해당 지진이 지난해 강진에 따른 여진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여진이 12차례 이어지는 등 지난해 강진 이후 규모 2.0 이상의 여진이 89회에 달한다. 언제 또 여진이 닥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 수밖에 없는 것이다.
[포항 지진현장/자료=국토교통부]
2016년 발생한 규모 5.8 경주지진은 지난해 일어난 규모 5.4의 포항지진보다 강한 지진이었다. 그러나 포항지진은 인구밀도가 보다 높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진원 깊이가 더 얕았을 뿐 아니라 지표를 덮고 있는 신생대 3기 퇴적지층 내에서 지진파가 증폭돼 피해가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렇듯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최대 지진동은 발생 가능한 지진의 위치와 해당 지역의 지표 지질에 달려 있다. 또 최대 지진동의 발현 주기는 그 지진동을 유발하는 지진들의 재래주기에 달려 있다. 최대 지진동의 발현 주기와 크기를 전국적으로 계산한 결과물이 ‘국가지진위험지도’이다.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지진 피해는 예상 지진동 크기와 함께 해당 지역의 지진동 취약성에 따라 변한다. 같은 지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인구 밀도, 도시 크기, 건물 분포, 건물별 내진 성능에 따라 피해 정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결국 지진 피해는 지진의 크기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여건에 크게 좌우된다.
동 단위 세밀한 ‘지진 위험지도’ 제작 서둘러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하에 존재하는 단층에 대한 정밀조사가 오는 4월부터 시작된다. 지진 전문가들은 경주, 포항 등의 영남권에 이어 수도권을 지진 위험지역으로 선정했다. 수도권은 딱딱한 바위인 ‘하드락’을 기반암으로 하고 있어 응력이 오랫동안 쌓이게 돼 큰 규모의 지진으로 재현된다. 지난 2016년 국민안전처는 서울에 규모 6.5의 지진이 일어나면 무려 1만2000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수도권 지하, 지진의 원인이 되는 단층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달 말까지 연구를 수행할 팀을 선정한 뒤 4월부터 본격적인 탐사에 들어간다. 4년간 총 100억 원을 투입하여 지진 위험 지도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반면 부산시는 지난해 12월1일 ‘부산시 지진재해 지도’를 처음으로 공개하면서 재난에 대비한 부산시의 빠른 발걸음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행정안전부 국립방재연구소는 지질·지반 특성에 따른 위험도를 나타낸 ‘지진재해도’와 지진 후 인명 피해, 대피 곤란 등 사회적 요소까지 고려한 ‘지진위험도’를 구분한다.
부산발전연구원과 부산대 손문(지질환경과학과) 교수팀은 최근 공동연구 보고서인 ‘부산시 지진재해 평가 기초연구’를 통해 지역별 지진재해의 취약성을 지도로 만들었다. 공동연구 보고서인 ‘부산시 지진재해 평가 기초연구’를 통해 지역별 지진재해의 취약성을 지도로 만들었다. 부산시는 먼저 지도상 취약지로 분류된 강서지역과 부산항(북항), 수영만 일대 등 퇴적지와 매립지 점검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일대 주택이나 상가의 수도 전력 가스 같은 기반 시설을 점검하고 취약한 건물이나 시설은 내진을 보강하는 등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기본이 되는 지질·지반에 관한 기본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이번 용역을 시작으로 ‘부산지역 지질·지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