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시설관리 분야/자료=국토교통부]
앞으로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드론 등 스마트기술을 활용해 철도분야의 안전관리가 첨단화 될 전망이다.
17일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철도 안전 분야의 사고·사망자 수는 감소해 왔지만 감소율이 한계에 도달, 기존 안전관리 방식만으로는 안전개선이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마련했다.
차량·시설·운행 등 6대 분야 24개 과제를 담은 스마트 철도안전관리 구축 기본계획은 우선 차량관리 분야에서 사물인터넷과 센서를 활용해 차량부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로봇 제어설비 등으로 자동 정비를 실시한다.
시설관리 분야에선 드론을 이용해 시설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 첨단 장비로 유지보수를 할 계획이다.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예방 시스템도 구현할 계획이다.
인적관리 분야로는 인공지능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피로 등을 인지, 위험을 실시간으로 확인·경고해 줘 가상, 증가현실을 활용한 비상대응 훈련도 실시한다.
위험관리 분야의 경우 사고 사례, 유지관리 정보 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위험을 예측하고 사고예방을 위한 최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LTE 기반으로 선로·차량·설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 위험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
보안관리 분야에선 지능형 CCTV,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스마트 철도보안체계를 구축해 테러 등의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대응하게 된다.
국토부는 철도안전정책관을 단장으로 철도운영기관, 철도관련 학계 및 연구기관, 4차 산업혁명 전문가 그룹 등이 참여하는 테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이행실적을 관리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선도적으로 철도 분야에 적용해 모두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