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 도시재생사업, 일자리 8만8000개 유발효과

서울역, 세운상가, 창신숭인 3개소 ‘직접고용·파급효과 합산’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8-01-08 18:10:0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3개소) 고용유발효과/자료=서울시]

서울시 도시재생 사업으로 약 8만8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8일 서울시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조사·분석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에 따르면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총 13곳 중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서울역 일대와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3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8만8693명의 신규 일자리 유발효과가 발생했다.

이 중 직접고용효과는 5132명이었으며, 간접고용효과는 8만3561명이었다.

서울역 일대와 세운상가는 ‘서울로 7017’과 ‘다시세운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이 각각 지난해 5월과 9월 마무리됐고, 창신·숭인의 경우 수도권 지역 중 유일하게 정부의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선정된 곳으로 지난해 말 대부분의 마중물 사업이 완료됐다. 일부 앵커시설은 올해 초 준공을 앞두고 있다. 
 
김갑성 연세대 교수는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토목건축 위주의 주택재개발·재건축 사업에 10억원을 투자했을 때 고용창출효과가 8.7명이라는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도시재생의 고용유발효과는 21명 이상으로 2.5배 이상 더 높다”며 “도시재생은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일자리는 물론 건설 후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직접고용효과를 보면 건설단계의 ‘일시적’ 일자리(2387명)보다 건설 이후 운영단계에서 생겨나는 ‘지속적인’ 일자리(2745명)가 1.1배(358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재생이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이번 시범조사를 토대로 올해에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 지역(131개소)으로 확대해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도시재생은 경제·사회·물리·환경적 해결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1세기형 도시관리방식”이라며 “주민과 공공 등 주체들 간 협역에 따른 지역 활성화와 다양한 특화산업 유치에 따른 관광유발 효과 등 비물리적 요소를 더하면 일자리 유발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연관기사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