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 위치도/자료=서울시]
사업성 부족 등으로 22년간 시행되지 못했던 관악구 '강남아파트'에 대한 정비사업이 물꼬를 튼다.
서울시는 1974년 준공된 관악구 '강남아파트'에 대한 정비사업을 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의 지원 아래 본격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강남아파트 정비사업은 당초 조합이 설립된 1995년 이후 시공자가 4차례나 선정되고도 사업성 부족과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부동산 경기침체, 부실한 조합운영에 따른 소송 등으로 22년간 사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강남아파트는 지은지 43년이 지난 건물인 만큼 곳곳에 균열이 발생하고 설비가 노후화 돼 2001년 재난위험시설(안전등급 D등급)로 지정됐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주택도시공사 등을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켜 통상 4~5년 걸리는 시공자 선정을 6개월 만에 완료하고 사업 추진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관악구와 각종 인·허가 등 행정 처리를 담당하고 주택도시공사는 조합 운영 유도와 초기 사업비 대여,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도입 등을 통한 사업비 직접 조달 방안 등을 각각 지원했다.
서울시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민간임대주택사업자로 참여 하는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연계형 정비사업 방식을 도입해 시공사의 자금조달과 분양 부담을 완화했다.
또 양 기관이 초기사업자금 직접 조달해 공사비를 낮은 수준으로 내렸다.
지난 21일 조합총회에서 선정된 시공사가 제시한 금액은 제곱미터당 121만 원(평당 400만 원)으로 최근 서울시 재건축 사업장의 평균 공사비(152만원/㎡, 501.7만원/평)보다 평당 약 100만 원 이상 낮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오랜 기간 난항을 겪은 강남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은 공공의 사업참여를 통해 정비사업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추진한 대표적 사례가 됐다”며 “앞으로도 민간에서 자체 추진하기 어려운 사업자에 대해서는 공공의 참여를 확대해 시민들의 안전한 주거환경을 보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