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신호등, 교통안전을 넘어 지역성까지 고려해야 ④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한 세계 각국의 시도들

신혜현 기자   |   등록일 : 2017-09-22 16:33:23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교통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해 빨강·노랑·파랑색의 3색으로 제작된 신호기다. 처음에는 서울의 중심지 3곳에 설치돼 교통경찰관이 신호등을 조작했고 밤에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광복 후 3색 전기 신호기가 나타나 도심에 하나 둘씩 교통 신호기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 현재는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센터시스템을 갖춘 현대식 온라인 신호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온라인 신호시스템은 교통정체 해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최근에는 녹색 신호에서 화살표가 들어간 좌회전용 신호까지 따로 만들어 4색등이 되었다. 그러나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신호등이 너무 많이 설치되면서 신호등이 오히려 교통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경우에 따라 1㎞ 도로에 신호등이 5개가 있어 200m 마다 한 번 꼴로 신호등을 지켜봐야 하는 곳도 있다. 왕복 2차로의 골목 도로에도 신호등이 도심 지역처럼 설치된 곳도 많이 있다.

신호등도 교통체증도 없는 팔괘도시, 신장 터커쓰(特克斯)
 
[신장 터커쓰현 팔괘(八卦)도시 조감도/자료=차이나넷]

교통 신호등이 없는데도 교통체증이 없는 유일한 도시가 있다. 중국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터커쓰(特克斯)현은 고대 실크로드의 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전체 면적 8,350㎢에 인구 약 15만 5천여 명이다. 면적은 크지만 인구는 아주 작은 소도시다. 중국인들은 이 신비한 도시를 팔괘성(八卦城)이라 부른다. 이 도시는 전체적으로 방사상원형을 띠고 있다. 도시 한가운데에는 팔괘문화광장이 들어서 있고, 이 광장을 중심으로 8개 도로가 방사형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도시의 8개 도로는 가로등 전신주, 도로벽돌, 도로석 등에서 색깔을 각각 달리했다. 8개 도로의 전체 길이는 1,200m에 이른다. 이 8개 도로를 4개 환형 도로가 일정 간격으로 가로질러 돌고 있다. 4개 환형 도로는 360m 간격으로 8개 도로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또 각 환형 도로마다 8~64개 도로를 이어 서로 통하게 했다. 1환에는 8개 도로, 2환 16개 도로, 3환 32개 도로, 4환 64개 도로 등으로 확장돼 있다. 도로는 팔괘 방향에 따라 64괘를 형성하고 있다. 복잡한 구조라 해도 찾는 이들이 미로에 빠지지 않도록 모든 도로에는 방향 설명 안내판을 설치해 놓았다. 이로 인해 이 팔괘성에서는 오늘날 대부분 현대도시에서 나타나는 고질 현상인 교통체증을 찾아볼 수 없다. 이 도시는 처음 설계부터 매우 계획적이었다. 당시 역학에 정통했던 경비사령관 추쭝췬(邱宗浚)이 이 지역 현장을 조사한 뒤 도시를 설계했다고 한다. 이 도시의 도로 구조는 지금도 연구대상으로 떠오르곤 한다.

교통체증 줄이는 미국의 ‘가변차로’와 ‘신호등’

[미국의 교통 신호체계/자료=urban114]

미국의 신호등 모양은 국내와 다르게 세로로 되어 있으며 차선마다 신호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의 신호등은 가로로 표시된 하나의 신호등의 표시에 따라 운행과 정지를 결정하지만 미국의 신호등은 2개의 차선에는 2개의 신호등, 4개의 차선에는 4개의 신호등이 있다. 이러한 신호체계는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교통사고 확률을 줄여준다. 또한, 미국 번화가가 아닌 일반 도시의 횡단보도에서는 아무리 기다려도 초록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기하는 행인이 없을 경우에는 횡단보도 신호 없이 ‘차량’ 중심의 신호체계로 운영된다. 횡단보도를 건너려면 신호등 아래의 진행 방향 버튼을 눌러야만 신호등이 교통상황에 따라 작동한다. 행인이 없을 때에는 차량 중심으로 작동하지만, 미국은 차량 중심이 아닌 무조건 ‘사람’ 중심의 운전을 한다는 문화가 잘 정착되어 있다. 국내와 다른 자동차 문화가 정착된 상황으로 도로에서는 자동차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도로교통법이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신호등 설치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교통체증을 줄여주는 신호등의 체계를 국내에 적용해보는 것도 교통체증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