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인왕산 유아숲체험장/자료=서울시]
서울에 아이들이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유아숲 체험시설이 2023년이 되면 400개로 늘어난다. 서울 행정동마다 1개의 유아숲이 들어서는 셈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41개인 유아숲을 2023년까지 10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유아숲은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작은 동물과 낙엽, 가지, 꽃 등 놀거리를 찾아 뛰놀 수 있는 공간으로 1950년대 덴마크에서 처음 시작해 유럽 전역으로 널리 퍼졌다. 한국에서는 2008년 산림청이 처음 도입했으며 서울시는 2011년부터 유아숲체험장을 조성하기 시작해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41곳(40만 3,400㎡)을 운영 중이다.
시는 그동안 1만㎡ 이상 규모의 ‘유아숲체험장’이나 5,000~1만㎡의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해 왔으나 앞으로는 동네 뒷산이나 하천, 공원 등의 녹지를 이용한 5,000㎡ 미만의 소규모 ‘유아동네숲터’를 위주로 유아숲을 확대한다. 시는 2023년까지 유아동네숲터 325곳, 유아숲체험원 34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운영 방식은 오전·오후에 1개 기관씩 총 2개 기관만 이용할 수 있던 것에서 하루 최대 6개 기관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바뀐다. 또한 현재 있는 41개 유아숲체험장마다 1개 기관씩 주 3회, 하루 3시간 이상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정할 예정이다.
최광빈 시 푸른도시국장은 “과거 초기 단계의 유아숲체험장이 시설물 위주였다면 앞으로는 숲 자체를 교육의 장으로 내실을 강화하고 동네마다 마을마다 크고 작은 숲을 발굴 조성해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