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중랑천, 홍수에 안전한 생태친수공간으로 거듭난다

국토부·서울시·경기도 협력…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과 연계

유지혜 기자   |   등록일 : 2017-03-06 09:12:21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중랑천 생태복원 개념도/자료=서울시]

 

서울과 경기도를 지나는 중랑천이 홍수에 안전한 생태친수공간으로 거듭난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중랑천을 홍수에 안전하고 생태환경이 우수한 도시하천으로 조성하는 데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서울시·경기도와 6일 체결한다고 밝혔다.

 

중랑천은 서울 동북부 지역을 지나는 21㎞는 국가하천, 경기도를 흐르는 14㎞는 지방하천으로 분류돼 3개 기관의 관리를 받는다. 이들 기관은 서울시의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과 연계해 간선도로를 따라 흐르는 중랑천의 홍수방지 및 생태복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기로 하고 연구용역을 공동 발주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중랑천 하천기본계획에 반영된 지하방수로와 제방보강 등 홍수방어 계획을 동부간선도로 철거 및 지하 터널도로 건설계획과 연계해 재검토할 예정이다. 또 중랑천 전 구역을 보전, 친수, 복원지구로 세분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하천 공간 이용·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중랑천의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기존 콘크리트 낙차공 16개소는 철거해 어류가 이동하는 데 단절이 없도록 하는 한편, 저수로와 인공호안 등도 콘크리트를 걷어내 자연 그대로의 강바닥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홍수터, 저류지, 습지, 여울, 생물서식처 등도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랑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하천이 주는 풍요로움을 제공하기 위해 철거되는 동부간선도로 부지에는 친수보행로와 자전거도로, 캠핑장, 피크닉장 등 친수 여가문화 공간을 설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강 자전거도로를 중랑천까지 연결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국토부·서울시·경기도 관계자는 “중랑천 홍수방지 및 생태복원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중랑천 유역이 홍수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서울·경기 상·하류 간 일관성 있는 생태하천 조성을 통해 한강과 단절된 생태축과 자전거도로를 연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