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 순항할 수 있을까 ④

평창동계올림픽의 현안과 사후 과제

이상민 기자   |   등록일 : 2017-01-12 00:41:52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평창동계올림픽 주요 경기장(아리스아레나·스피드스케이팅)/자료=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 한국에서 열리는 첫 동계올림픽인 만큼 성공적 대회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하지만은 않다. 관심과 예산 부족, 경기장 사후 관리 문제 등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15개 종목을 강릉, 평창, 정선 등지의 12개 경기장에서 진행한다. 참가선수와 임원은 100여 개 국가에서 약 5천 명이며, 국제스포츠 관계자, 보도진 및 IOC 패밀리 등을 포함한 약 4만 5천 명으로써 총 5만 명을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강릉시가 확보 가능한 고급 숙박시설은 호텔, 콘도를 포함해 약 4,468실 규모로 판단하고 있다. 이는 동계올림픽 개최 이전까지 신축 또는 증축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 것이며 실제 빙상경기가 개최되는 기간에는 수요가 약 2만 실로 예측돼 부족한 숙박시설은 약 1만 5천 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숙박시설의 확보는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나 사후 활용이 미흡할 경우에도 수요 부족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비록 지금 시행되고 있는 사업이 대부분 민자사업으로 정부 재정의 부담이 크지 않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 없이는 발생한 문제에 대비할 수 없다. 2004년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은 정부예산의 79.6%를 투입하였으나 사후 경기장과 숙박시설 대부분을 재활용하지 못해 수십억 달러의 적자를 내었다. 이와 달리 1998년 미국 LA 올림픽은 비용 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학기숙사를 선수촌으로 활용하였으며,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Lillehammer) 동계올림픽은 부족한 숙박시설을 가건물이나 컨테이너를 활용함으로써 4천억 이상의 흑자를 보였다.

숙박시설의 사후 활용으로는 주거용도로의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숙박시설을 주거시설로 활용해 기숙사나 사회 소외계층에 공급함으로써 부족한 수요를 충족하고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강원도의 뛰어난 자연 생태계와 휴양 관광지로서의 명성을 이용한 건강휴양 타운 및 노인복지하우스의 운영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올림픽 선수촌의 경우 민간주택 분양 혹은 동계스포츠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비록 태릉선수촌이라는 걸출한 집중 훈련 허브가 있지만, 동계올림픽을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결절점이 없다. 동계올림픽 종목 선수 양성을 위해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촌을 국가대표 인재 양성시설로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앞선 런던올림픽 사례에서 미디어 센터는 업무시설로 탈바꿈해 7,5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창출했고, 대학시설을 유치하여 1,200명의 학생을 위한 학습·연구공간으로 변화했다. 올림픽공원 내 올림피코폴리스는 UCL대학교, 런던예술대학교, V&A박물관, 새들러스 웰스 극장 등이 입주하는 복합문화시설로 조성된다. 이처럼 평창올림픽의 올림픽 경기장 시설들도 사후 스포츠시설로의 활용 외에도 문화센터, 컨벤션시설 등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수백억 원을 투자해 건설한 스포츠시설이 부족한 스포츠 수요로 인해 도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선 관광객과 경기장을 연계해 관광명소로 부각하여 수익성을 증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각 지역에 흩어진 12개의 경기장의 입지적 특성, 주변 상권, 인프라 활용도 등을 연계해 고려함으로서 경기장의 시설 복합화나 복합단지로의 개발을 지향함으로써 지역의 랜드마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경기행사 위주의 운영보다 사회체육시설, 복합엔터테인먼트시설, 쇼핑센터 등 지역의 주요 관광시설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경기장은 그 자체만으로 훌륭한 거대 시설물로 자칫 스포츠 이벤트라는 좁은 시야로 한정할 경우 수요를 잃고 적자를 낳는 괴물이 될 수 있다. 2017년 문체부 업무계획에 포함된 5개 경기장 시설의 운용계획은 대부분 체육시설로의 활용계획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렸던 경기장이라는 랜드마크로서는 기능하지만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충족하는 시설로의 전환은 불가능한 활용계획이다. 올림픽 유산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후 활용계획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한편 강원도는 평창동계올림픽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예산을 당초 계획대로 확보하지 못해 난감한 상황이다. 강원도는 지난해 8월 국회에 동계올림픽 홍보 및 관광인프라 구축과 관련해 1,200억 원 예산 증액을 요청했지만 지난달 3일 국회에서 통과된 예산안은 요청액의 18%에 불과한 216억 원이다. 당시 강원도가 명시한 예산 증액안 사업에는 ‘국민화합 문화올림픽’(150억 원), ‘D-100 전국 페스티벌’(100억 원), ‘경관개선·문화거리 조성’(450억 원), ‘올림픽 붐 조성’(220억 원), ‘올림픽 상징물 건립’(200억 원), ‘올림픽 관광인프라 구축’(80억 원) 등이 포함돼 있다. 결국 216억 원은 올림픽 붐 조성비로 계획한 22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올림픽은 국책사업임에도 여전히 ‘강원도의 올림픽’이란 인식이 강한 것 같다”며 “내년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서라도 올림픽 준비를 위한 막바지 재원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G-1년, 경기장의 공정률은 현재 90.2%로 완공은 계획대로 차질 없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올림픽 이후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은 게 현실이다. 12개 경기장을 새로 짓거나 보완하는 데 들어간 비용만 약 8,400억 원에 이르지만 대회 뒤 활용계획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걱정 가운데 하나는 올림픽 유산을 남길 수 있느냐다. 경기장은 물론이고 대회를 위해 만들어질 인프라 등이 제대로 쓰이지 못한다면 대회 운영의 성공을 떠나 실패로 각인되고 만다. 이희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장은 “대회를 잘 치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설 사후 활용도 중요하다”며 “지역 균형 발전의 성과가 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 폭까지 넓힐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지만 경기장의 구체적인 사후 활용계획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