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심층취재

특혜 의혹 ‘K-컬처밸리’ 순항할 수 있을까

CJ그룹 “정부 예산 지원·특혜 없다…계획대로 추진”

강현선 기자   |   등록일 : 2016-11-21 09:28:10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K-컬처밸리 조감도/자료=경기도]


최순실 게이트에 휘말린 1조 4,000억원 규모 테마파크 개발사업인 CJ그룹의 K-컬처밸리가 계획대로 추진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CJ그룹은 현재 공사 중인 공연장에 이어 2018년까지 테마파크와 쇼핑몰·호텔 등을 계획대로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비선실세 연루 사업으로 낙인찍혀 자금조달 등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가 비선실세 연루 사업을 모두 접겠다고 밝힌 만큼 검찰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K-컬처밸리 사업이 무산될 경우 CJ그룹은 그동안 투입한 수백억 원에 달하는 자금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K-컬처밸리 특혜 정말 있었나

 

K-컬처밸리는 경기 고양시 한류월드(약 99만㎡)에 30만 2,000㎡ 규모 체험형 콘텐츠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총 1조 4,000억 원이 투입되며 10년간 생산유발 13조 원, 일자리 9만 개 창출의 투자 효과가 기대되는 대규모 개발사업이다. K-컬처밸리에는 2,000석 규모 융복합 공연장과 호텔, 쇼핑몰 등 상업시설이 들어선다. 내년 말 공연장을 우선 준공하고 2018년 말까지 테마파크와 상업시설 등을 순차적으로 짓는다는 계획이다.

 

CJ그룹은 K-컬처밸리의 사업시행자인 케이밸리㈜를 지난해 12월 설립했다. 자본금은 CJ E&M 출자금 450억 원과 싱가포르 투자사인 방사완브라더스 투자금 50억 원 등 830억 원 규모이며, 앞으로 2천억 원 규모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그 외 추가로 필요한 자금 중 상당 부분은 외부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이 중 초기에 7천억 원 정도가 필요한데 당장 최순실 게이트와 맞물려 자금 마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컬처밸리는 현 정권의 문화융성 정책을 대표하는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핵심 프로젝트로 꼽혀왔다. 이 개발사업이 비선실세 연루 의혹에 휘말리는 것도 최순실씨의 측근인 차은택씨가 주도해 온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의 핵심 인프라에 K-컬처밸리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순실 씨와 더불어 국정 농단 사태에 깊숙이 참여한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의 개입설이 나돌았고 경기도의회는 CJ그룹이 외국인투자기업을 급조해 부지 가액의 1%에 50년간 장기 임대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구속 중이던 이재현 회장의 사면을 위해 CJ그룹이 정부에 무조건 투자를 약속했다는 해석도 이 같은 의혹에 힘을 실었다.

 

이에 대해 CJ그룹 관계자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K-컬처밸리에 대한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부로부터 예산 지원이나 특혜를 받은 사실이 없으며 그 어떤 시설에도 정부 지원금이 투입되지 않는다”고 밝히며, “CJ 주도로 추진하는 100% 민간사업인 만큼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남경필-안종범, K-컬처밸리 토지 무상제공 교감했나

 

비선실세 최순실의 최측근인 차은택이 주도한 것으로 전해진 K-컬처밸리 사업과 관련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간 사전교감 의혹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의회 K-컬처밸리 특혜의혹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이하 특위) 박용수 위원장(더민주·파주2)은 오는 23일 남 지사를 상대로 한 도정질문에서 이 문제를 집중 추궁하기로 했다.

 

특위에 따르면 박수영 전 행정부지사는 최근 언론인터뷰 등을 통해 “사업 초기인 지난해 1월 말에서 2월 초 청와대 관계자로부터 K-컬처밸리 부지를 무상제공 해달라고 요구 받았지만 거절했고 대신 대부이율 1%를 제안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후 사업주체인 CJ는 실제로 2015년 6월 설립된 싱가포르 콘텐츠사업회사인 방사완브라더스를 끌어들여 외국인투자기업에 적용되는 임대료 1%(국내기업 5%) 혜택을 받는 등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특위는 이달 내로 K-컬처밸리 사업에 참여한 외국인투자기업 방사완브라더스의 기업 관계자 면담을 위해 싱가포르 현지도 방문할 계획이다. 현재 방사완은 사업 시행자인 CJ의 특혜를 위해 급조된 페이퍼 컴퍼니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도의회 조사특위는 △한류마루에서 K-컬처밸리로의 사업 변경과정 △외국인투자기업 방사완의 실존 여부 △청와대 등 외부 개입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 중이다.

 

특위는 “청와대 행정관이 부지사에게 전화를 걸 만큼 챙긴 사업인데 남 지사가 세부적인 내용을 전달받지 못했을 리가 없다”며, 박 전 부지사를 증인으로 채택한 데 이어 남 지사도 증인으로 부르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번 도정질문에서 안 전 수석과의 접촉 여부 및 토지 무상제공 협의 정황 등을 집중적으로 질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초기 단계 K-컬처밸리 순항할 수 있을까

 

CJ그룹에 따르면 K-컬처밸리의 숙박용지(2만 3,100㎡), 상업시설(4만 2,900㎡)는 2018년까지 완공될 계획이지만 테마파크용지(23만 7,600㎡)의 경우 착공과 완공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다. 우선 호텔, 공연장 등이 들어서는 숙박용지(2만 3,100㎡)는 이미 지난 7월에 착공한 상태다. 이 용지에는 지상 7층 높이(연면적 3만 5,957㎡)의 융복합 공연장이 건립된다. 오픈된 원형경기장 형태의 융복합 공연장에서는 K-pop공연, 서커스, 아크로바틱 공연 등이 열릴 예정이다. 또 공연장 옆에는 지하 2층부터 지상 25층(연면적 4만 565㎡)까지 총 310실의 호텔이 들어선다. 상업시설은 내년 1월 착공에 들어가며 한류 체험형 쇼핑공간 등 판매시설 6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단, 테마파크용지(23만 7,600㎡)는 목표 완공 기한이 2018년에서 다소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테마파크는 △한국 음악, 드라마, 영화 등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는 ‘그레이트(great·위대한) K 존’ △한국 역사 속 명장면을 소재로 한 놀이기구가 설치된 ‘히스토리(역사) 존’ △로봇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래 체험관 ‘K트로폴리스 존’ 등으로 구성된다.


CJ그룹 관계자는 “현재 미국의 전문회사와 테마파크 기획·설계 막바지 단계지만 정확한 착공 시점과 완공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숙박시설, 상업시설에 이어 순차적으로 오픈할 예정이지만 다소 미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K-컬처밸리는 정부 예산을 받아 진행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을 접거나 백지화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