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지진 방재대책 시급 “더 이상 안전지대 아냐” ④

지진에 대한 일본의 방재시스템

장은지 기자   |   등록일 : 2016-09-29 13:52:2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4개의 판으로 둘러싸인 일본/자료=urban114]

 

일본 열도는 4개의 판(Plate) 위에 위치하고 있다.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일본 북서부 지역은 유라시아판과 북미판의 경계에 놓여 있으며, 일본 동북부 해안은 북미판과 태평양판의 사이에 존재한다. 더욱이 일본 열도 남측은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경계에 걸쳐 있다. 동북부 대지진은 태평양판이 북미판의 밑으로 기어들어가 생기는 뒤틀림이 한계에 달하여 미야기현 앞바다의 진원지로, 북미판이 도약하여 일어난 것이다. 단, 이번의 지진이 이렇게까지 엄청난 규모로 일어난 것은 지진의 연동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미야기현 앞바다의 지진이 주변의 산리쿠 앞바다 남부 해구 근처나 후쿠시마현 앞바다, 이바라키현 앞바다의 진원을 동시에 자극하여 에너지가 연동하여 팽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복수의 진원 단층이 남북 500㎞, 동서 200㎞의 광대한 규모로 동시에 붕괴된 결과, 상정하지 못했던 거대지진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동경대학 지진연구소의 후루무라 타카시 박사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이처럼 진도 9.0의 막대한 파괴 에너지의 생성 메커니즘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일본의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은 GPS에 의한 관측으로부터 지진 재해 후 미야기현의 이시노마키시(市)의 전자기준점이 동남동 방향으로 5.3m, 아래의 방향으로도 1.2m 이동한 것이 판명되었다고 발표했다. 지도가 변할 정도의 대규모 에너지가 폭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틀림없는 천재지변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규모가 큰 파괴 에너지에 습격을 받은 일본은 이 아픔이 채 가시기도 전에 다시 한 번 말할 수 없는 불안에 빠져 있다. 일본 열도의 아래에서 불안한 연동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미명에 나가노현 북부에서 일어난 지진은, 동일본 대지진 재해의 흔들림에 의해 때마침 그 지역의 활단층에 뒤틀림이 생겨 그것이 반발하여 생기게 된 새로운 지진이다. 막대한 에너지로 열도 전체가 흔들린 결과, 여기 저기에 무수한 뒤틀림이 편재해 있다. 이제는 일본의 어느 곳에서 대지진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라 한다.

 

[일본 대지진 후의 모습/자료=urban114]


일본에서는 한 해 평균 5,000회 안팎으로 규모 3.0 이상의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한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9.0), 올 4월 구마모토현 지진(규모 6.5)이 대표적인 예다. 일본 지질학자들은 현재와 같은 지진이 계속 이어질 경우 30년 안에 일본 남쪽 해구에서 규모 9.0, 도쿄에서 규모 7.0의 강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해마다 막대한 예산을 지진 대책에 할당하고 있다. 문부과학성과 기상청, 기타 관계부처와 학계 전문가들로 이뤄진 정부 중앙 특별기관 ‘지진본부’가 올해 지진조사를 연구하기 위해 집행한 예산은 111억 5,200만 엔(약 1,219억 원)으로 한국의 내년도 지진관련 예산(56억 원)의 약 22배에 달한다.  
 
1995년 간사이(關西)에서 발생해 6,300여 명이 사망하고 1,400억 달러(약 154조 원)라는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한신대지진(규모 7.2)을 계기로 일본 정부는 같은 해 ‘지진방재대책 특별조치법’을 제정했다. 이 법률 시행의 일환으로 설치된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 High Sensitivity Seismograph Network Japan)은 일본 각지에서 일어나는 지진을 감지하고 분석하는 설비다. 고감도 지진 관측망은 일본열도 전역에 약 20㎞ 간격으로 설치돼 24시간 가동된다. 또한 관측소가 전국에 1,348개 설치돼 세계 최대다. 1대당 설치 비용은 3,000만 엔(약 3억 2,835만 원), 데이터 통신 비용으로만 연간 2억~3억 엔이 소요된다. 이처럼 지진 관련 인프라시설이 촘촘히 연결돼 일본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수십초 내로 TV 방송과 스마트폰 알람을 통해 경보가 전달된다.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2011년 대지진 당시 관측 속도가 늦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관측망이 해저가 육상에 비해 허술한 데 따른 것이다. 지진계의 해저 설치비용은 육상용의 10배인 1대당 3억 엔에 달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일본에서는 아파트, 공공시설 등 건물의 내진 보강공사가 2013년에 의무화돼 2015년 말까지 대상 건물의 90% 이상이 공사를 마쳤다. 지방자치단체도 독자적인 대책을 내놓고 있다. 도쿄도는 2015년 20억 엔의 예산을 투입해 지진 발생때 대비책과 행동 강령, 피난소 위치 등을 수록한 책자 ‘도쿄방재’를 750만 부 제작해 도쿄도민들에게 무상 배부했다. 학교에서는 체계적인 방재교육을 명문화 해 실시하고 있다. 

 

일본은 지진발생 때 대중교통시설에 대한 대책도 마련한 상태다. 동일본 여객철도(JR)는 도쿄역에서 30㎞ 거리에 있는 역 200곳을 지진 재해 때 피난소로 개방하고 총 6만 명이 마실수 있는 물과 비상식량, 담요 등을 비축하고 있다. 놀이시설인 도쿄 디즈니랜드는 매일 영업시간 전에 모든 종업원이 방재훈련을 받는다. 이와 함께 주요 공공시설에 설치된 자판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해 무상으로 식음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재난예방시스템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꾸준한 재난재해 예방대책에도 불구하고, 1995년 1월 17일 오전 5시 46분에 발생한 한신대지진은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이를 계기로 일본에서는 이전부터 추진해오던 도시방재시스템에 대한 재검토를 시작하였고, 근본적으로 지진에 강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재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저감 대책 등 다양한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