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구 문래동 예술촌 견학 모습/자료=전주시]
전주시가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을 여성인권에 대해 교육하고, 문화가 있는 예술거리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모델 발굴에 나섰다. 국내에서는 성매매집결지가 도시계획에 의해 전면 철거 후 개발된 적은 있지만, 인권·예술공간 등으로 기능전환을 시도하는 것은 선미촌이 처음이다.
시와 선미촌정비 민관협의회는 지난 26일 선미촌을 인권과 예술의 거리로 조성하기 위한 선도사업 추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선진지 견학을 실시했다. 시는 50년 전부터 서노송동에 형성된 선미촌(2만 2,760㎡)의 기능전환을 위해 올해 10억 5,3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폐·공가 매입을 통한 거점공간을 확보하는 등 오는 2022년까지 7년간 총 67억 원을 들여 문화재생사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
시는 기존에 매입한 폐·공가에 대해서는 쪽방 형태의 여인숙 건물의 일부를 보존해 성매매업소의 기억의 공간으로 남겨둘 계획이다. 이와 함께, 최근 매입한 성매매업소는 지역의 예술인들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정주형 창작예술공간으로 조성해 선미촌에 문화적 활력을 불어 넣는 핵심 문화거점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올 연말까지 예술가들의 선미촌 내 공간에 대한 기록 탐색과 여성인권과 성매매, 여자 등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 생활창작공간 체험활동 등을 진행한 후 오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단계 사업과 3단계 정주형 예술창작공간화 작업을 거쳐 선미촌을 인권과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전주시 사회적경제지원단 관계자는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에 대한 점진적, 전면 정비를 통해 인권과 예술의 거리, 열린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