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자연을 표상하는 환경 친화의 그린 공공디자인 ②

그린디자인의 직접적 도입과 간접적 도입

장은지 기자   |   등록일 : 2016-03-29 16:10:4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뉴욕의 ‘Urban Garden Room’/자료=www.samoberter.com]

 

공간에서 자연요소는 사람에게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하기에 디자인적 콘셉트 또는 감성적인 방법으로 공간에 자연요소의 도입이 늘고 있다. 이러한 자연요소의 도입의 특징은 자연과 인간의 일체화를 위한 자연환경의 도입과 자연재료·자연형태의 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요소는 생명감을 대변하며, 공간에 전해지는 생명감은 우리 인간에게 감정·감각·정서·의식이 있는 의미로서 전달되고 있고, 생명의 의미는 공간 안에서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나타난다. 자연요소가 갖는 표면·색채·감촉·명암·소리 등 일정한 성질을 명시하는 것은 모두 감정의 잠재적 심벌이며, 이러한 것들로부터 자연적 느낌의 살아있는 공간에 만들어진다. 공간에 인간을 포함한 자연요소를 도입하여 음미·감상하려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 심성이라 할 수 있으며, 미적 대상으로써의 자연은 다양한 표현으로 공간에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 이미지를 상업공간에 표현하면 직접적 도입방식, 간접적 도입방식으로 나누어 표현되고 있다.  

 

[자연적 요소의 직접적 도입의 예/자료=urban114] 

 

◆ 직접적 도입= 자연요소의 직접적 표현은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상상이 되는 것의 지각적인 통일체이며 어떤 경험의 형태, 즉 직접적인 표현방식을 우리의 경험적 인식으로써 이해를 빠르게 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공간 속에 자연을 그대로 이식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에 나무를 심거나 연못을 만들거나, 거대한 바윗돌을 덩그렇게 놓는 경우를 말한다. 간혹 벽을 따라 흐르는 물의 존재가 폭포수의 형상임을 목도할 수도 있다. 즉, 아파트 베란다에 놓은 화분도 직접적인 표현 중 작은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표현방법은 인공적인 실내 환경의 경직성을 순화시켜주며 자연물로 인한 시각적 효과와 함께 안정되고 활기 있는 심리적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때 협소하고 폐쇄된 듯한 느낌을 해소시켜 실내 공간을 더욱 풍요롭게 하며 그 효과 또한 매우 크다. 위에서 말했듯이 직접적 표현방식으로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타나는데 자연을 직접적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도입하거나 실내공간에 자연을 디자인적 의미를 부여하며 상징성을 주고, 그와 함께 식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식물은 우리의 마음을 자연으로 이끈다. 자연은 재료 그 자체로서 물질만의 가치를 지니고만 있지 않다. 이러한 직접적인 도입은 공간에 생명감을 전해주어 우리들에게 감정·감각·정서·의식이 있는 의미로서 전달되고 공간에서 자연적 느낌이 살아있다고 느끼게 된다.

 

[자연요소의 간접적 표현의 예/자료=urban114]

  

◆ 간접적 도입= 자연에 관한 고유한 특성은 비유·상징·은유에 의한 표현으로 연상적 이미지 연출을 말한다. 즉 유기물의 내구 구조나 질서의 특징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추상화한 초기 아이디어의 원형을 여러 가지 전개 과정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환상성, 모순성, 연상성, 관능성 등의 시각적 효과를 통하여 사람들의 의식 세계에 충격을 주어 함축된 메시지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직접적 표현과 달리 자연요소의 간접 표현이란 인간의 잠재의식 속으로 깊이 파고드는 신선한 아이디어에 의한 연상적 이미지의 활용으로 자연물의 형태 및 구조와 유기적 질서의 특징을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추상화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그러므로 자연요소가 직접적으로 표현되기보다는 자연요소의 추상적 연상에 의한 표현으로 인간의 경험적 인식으로는 포착하기 힘든 본질적이고 실제적인 문제들은 다만 인간의 경험적 인식 통로를 빌려서 표현한다. 초기의 아이디어를 얻는다는 것은 자연으로부터 많은 전개 과정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자연요소를 강조하며, 이는 직접적 표현기법보다 한 차원 높은 표현기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연요소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간접적 방법으로 은유·상징에 의해 자연형태를 모방 또는 변형시켜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암시적이고 다르게 생각하면 추상적인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환상적이고 감각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한다. 간접적 표현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창조적 표현기법일 수 있다. 은유 및 상징 기법에 의하여 개념 설정 및 디자인 전개가 각 요소에까지 미치게 되어, 연상적 이미지 표현 기법으로는 비주얼 스캔들(Visual scandal), 비주얼 펀(Visual pun), 초현실 표현 등의 강렬한 표현 기법을 통하여 현대 물질문명 사회의 흐름을 적용, 유도 발전시키고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