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 고속도로 위치도/자료=국토교통부]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민자사업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제22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여 서울과 세종을 연결하는 연장 129㎞(6차로), 총 사업비 6조 7천억 원의 고속도로 건설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은 민자사업으로 추진하여 재정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며, 민간의 투자금을 활용하면서 통행료 부담도 낮추기 위해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리스크를 분담하는 손익공유형(BTO-a) 모델 등 새로운 민자사업 방식도 검토할 계획이다.
전체 사업구간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되, 서울~안성 구간(71㎞)은 사업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 우선 착수하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한국도로공사가 설계 등 공사 절차를 진행하면서 민자 적격성 검토, 사업자 선정 등 민자사업 절차를 병행하여 빠르면 ’16년 말 착공해 ’22년 개통할 계획이다.
또한 안성~세종 구간(58㎞)도 민간 제안과 동시에 일반 민자사업 절차로 추진하여 ’20년 착공, ’25년 개통할 계획이며, 충북지역에서도 서울~세종 고속도로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기~오송 간 지선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하여 ‘스마트 하이웨이’로 구축한다. 통행권을 뽑을 필요 없이 고속주행 중에도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과 차량과 도로, 차량과 차량 간에 사고 정보, 돌발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를 도입한다. 통신기지국, 레이더 등 도로상황을 감지하여 차량과 통신할 수 있는 도로인프라를 구축하여 차량센서만 이용하는 단계를 넘어 수준 높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부고속도로 확장사업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2008년 예비타당성 조사 이후 교통량이 지속 증가하여 향후 정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교통량 증가, 서울~세종 추진에 따른 여건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하여 확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세종 고속도로 사업이 추진되면 경부·중부고속도로의 혼잡구간이 6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통행속도도 약 100㎞/h 증가하여 통행시간 단축 등에 따라 연간 8,400억 원의 편익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 6만 6천 개, 11조 원의 생산유발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서울~세종 간 통행시간도 70분대로 단축된다. 평일 108분, 주말 129분에서 74분으로 크게 단축되어 세종시의 기능이 조기에 안정화되고 수도권과 세종, 충청권의 연계가 강화되어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추진되는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미래형 첨단도로로서 도로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미래형 첨단도로에 민간 금융기법을 결합한 맞춤형 패키지 전략으로 도로교통 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