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농어촌의 경관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고찰 ①

농어촌 경관의 특성과 현황

장희주 기자   |   등록일 : 2015-09-03 13:04:03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농어촌 경관의 유형 및 요소/자료=건축도시공간연구소] 

 

▲농어촌 경관의 정의와 특성= 경관이란 자연, 인공요소 및 주민의 생활상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환경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경관뿐만 아니라 역사, 관습, 가치관 등에 의해 형성된 부분들까지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농어촌 경관’은 농어업을 생산기반으로 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이러한 지역 내의 주거지로 이루어진 마을과 배경이 되는 자연환경, 그리고 지역의 역사, 관습, 가치관 등을 포괄하는 경관이라 할 수 있다.

 

농어촌 경관은 농어민의 생활상과 농지나 어항 등에 의한 생산경관과 마을경관, 그리고 주변의 자연경관이 함께 어우러진 경관으로 자연경관 요소, 생활경관 요소, 생산경관 요소, 역사문화경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농어촌은 자연적인 여건, 지역의 고유한 생산기반을 다루는 산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경관적 특성이 나타난다.

 

유형

요소 

자연경관 

산림, 구릉지, (소)하천, 호수, 습지, 산책로,

해안 (해안사구, 석호, 해안식생, 방풍림, 섬, 해안단애, 주상절리, 해식애, 일출, 일몰) 등

생활경관 

주거시설 

주택, 창고, 담장, 벽체, 지붕 등

공공시설 

도농교류시설(농촌체험시설, 마을회관), 공공시설 등 

상업시설 

상점, 음식점, 공장, 펜션 등 

생산경관 

농지 

논, 밭, 목초지, 과수원, 마을숲, 수목 등 

농업시설 

농업시설 및 설비(축사, 정미소, 비닐하우스), 용수로, 배수로, 농로, 저수지 등의 인공시설 

어업시설 

선착장, 선박, 양식장, 등대, 어항, 방파제, 시장, 수산물, 건조대 등 

역사문화경관 

사적, 유적, 관광시설, 마을행사 및 시설(동제, 축제, 사당, 당산목) 등

 

농어촌 고유의 경관을 가지는 농어촌 지역은 현재, 전체 국토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국토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별로 보면 농어촌 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에 모두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 농어촌 지역이 분포해 있는 관리지역과 농림지역은 전 국토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고, 그 경계가 모호하여 관리지역 내 농어촌과 농림지역 내 농어촌지역의 특성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이는 대도시주변의 관리지역과 읍지역의 관리지역에 대한 획일적인 공간관리체계로 인해 농어촌의 경관도 용도지역별 특성 없이 획일적으로 형성되는 원인이다.

 

▲농어촌 경관의 현황= 농어촌의 생산경관은 논, 밭, 과수원, 어항 등 생산활동에 필요한 공간과 축사, 창고, 어획도구 등 생산활동에 필요한 물리적인 시설물 등 다양한 경관 요소에 의해 지역의 교유한 경관이 형성된다. 농어촌의 독특한 경관과 주변지역의 수려한 자연경관은 도시민들의 여가를 즐기는 장소로도 활용되는 등 관광자원으로도 부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농어촌 경관은 관광시설을 포함하여 또다시 새로운 경관적 특성이 부여되기도 한다.

 

[2014년 농촌경관 사진공모전 대상작(강릉시 왕산면)/자료=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 경관은 농어촌 지역과 개발수요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용도지역에 따른 차별성보다는 개발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대도시 인근의 농어촌 지역은 도시의 개발과 더불어 개발수요가 높은 지역이 많으며 이로 인해 도로가 확충되고 공장, 창고, 공동주택이 들어서면서 주변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농어촌 고유의 경관적인 특징이 훼손되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은 지역 전체에 대한 미래상과 종합적인 공간계획이 부재한 상황에서 개별적인 개발행위에 의해 창고, 공장, 나홀로 아파트, 음식점 등이 주변 경관에 대한 고려 없이 무분별하게 조성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쇠퇴가 심화된 저개발지역 농어촌의 경우 인구 유출 및 노령화,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과소개발에서 오는 쇠퇴가 심각한 상황이다. 기존의 시설이 노후화되거나 빈집과 폐허, 폐상점들이 늘어나면서 농어촌 경관도 점진적으로 훼손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며, 거대한 규모의 공공건축물로 인해 시각적으로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수요가 높은 농어촌은 규제를 통해 주요한 경관자원을 보전하고, 저개발이 문제인 농어촌은 재생차원에서 접근하여 지원하고 유도하는 방안을 적용하는 등 지역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