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야간조명을 통한 도시 경관디자인: 전주한옥마을 ①

경관조명의 정의와 경관조명디자인 동향

장희주 기자   |   등록일 : 2015-08-06 14:27:5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프랑스 리옹 빛 축제/자료=Fête des Lumières 2012]


경관조명은 ‘빛’에 의한 경관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빛의 관계성을 체계화하여 쾌적한 빛환경을 창조하는 것으로, ‘서울시 야간경관기본계획’에서는 ‘도시경관조명이란 빛에 의한 경관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빛의 관계성을 체계화하여 쾌적한 빛환경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즉, 빛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도시 전체를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주간의 경관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도시의 매력을 발견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의 모습을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도시조명은 크게 기능적인 목적의 생활조명과 연출적인 목적의 경관조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활조명은 일상생활을 위한 조명(건축물에서 새어나오는 빛 등)과 가로등과 같은 기능적인 조명, 네온사인, 전광판 등의 광고를 위한 조명으로 구분된다. 경관조명은 야간경관을 배려하여 도시의 랜드마크적인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연출을 위한 장식적인 조명을 하는 것으로 도시경관조명을 구분한다. 야간경관을 구성하는 빛은 연출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인 건축조명과 공원, 광장의 오픈 스페이스(Open-space)조명이 있으며, 안전을 최우선하는 도로 조명과 상업적인 목적에 의한 광고물 조명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가 각각의 목적에 따라 유기적으로 잘 조화된 경관을 연출하는 것이 야간경관조명의 역할이다.

 

따라서 경관조명 및 야간경관은 야간을 밝히는 기능적 측면 외에도 최근에는 라이프스타일 변화, 야간활동 인구증가, 감성문화 대두 등의 사회변화로 경관조명은 단순히 밝히는 기능적, 안정성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성, 쾌적성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경관조명은 인간의 삶을 유지하는 환경적 측면으로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광원을 응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시각적 판단능력을 높이기 위해 LED광원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LED광원은 적은 소비전력으로 고효율을 낼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경관조명은 실내 공간과 대치가 되는 개념인 옥외공간에 사용되는 조명을 통칭하는 말이었지만 생활 시간대의 연장과 삶의 질 향상, 문화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현대에 와서는 단순히 밝혀준다는 개념을 넘어서서 도시와 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심미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도시경관조명은 ‘외부조명(exterior lighting)’ 혹은 ‘옥외조명(outdoor lighting)’의 단계를 거쳐 최근에 ‘경관조명(landscape lighting)'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심미적인 빛은 경관조명 연출을 통해서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시의 문화적 자긍심과 예술적 가치를 높여주어 도시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민과 방문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도시생활에 여유와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의 야간경관을 심미적이면서 감성적으로 만들어 사람과 도시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심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여가로서의 야간환경을 제시하기도 한다.


경관조명디자인의 대상 및 계획 요소

경관조명을 구성하는 요소로서는 건축물, 가로, 광장, 공원, 교량 등의 조명과 도시축제로서의 조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요소가 잘 조화되고 야간의 경관환경을 위한 연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공건축물, 상업업무빌딩, 랜드마크 시설 등의 건축물에 대한 야간경관조명은 도시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며 건물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그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글로벌 시대에 관광 문화사업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최근 건축물 파사드를 이용한 조명연출은 의사 전달체로서의 구성적 의미를 가지며, 건축의 구조나 기능에서 나오는 필연적인 형태 이상으로 중요한 표현수단이 되며 도시 경관에 조각적 입체감을 부여한다.

 

공원, 광장, 환경시설물 등에 대한 조명은 도시의 랜드마크적인 기능을 갖게 하고 장소적 특징을 시각적인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식재, 지면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계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휴식, 산책의 장이므로 안전성과 쾌적성을 확보하여 수목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편안하고 친근감 있는 조명연출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량조명은 도시의 커다란 구조물인 교량이 가지는 기본 구조물로서의 조형미를 최대한 부각시키고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창조하여 풍부한 볼거리로서 지역의 랜드마크 이미지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교통시설물로서의 본연의 기능인 주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최대한 눈부심 방지를 통해 안전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도시축제조명의 경우 지역의 이미지 향상 및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역주민에게는 지역에 대한 자긍심 고취의 효과를 주는 등 문화예술 및 관광사업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경관조명디자인의 동향 및 효과

경관조명디자인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을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빛을 이용해 디자인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도시나 마을에 야간경관은 사람들의 활동영역이 야간시간대로 늘어남에 따라 전기를 이용한 광원이 경관조명디자인의 주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인공광원을 응용한 경관조명디자인은 교량, 건축물, 고가도로 등 기반시설들이 집중된 도시나 마을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빛과 빛이 만나 서로를 간섭하게 되는 빛의 특수성 때문에 마을에서의 빛은 지속적으로 더해지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어 빛공해방지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조명의 공간연출의 부가적 기능이 중요시됨에 따라 도시계획, 야경계획, 경관조명디자인 등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경관조명디자인의 사업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가의 도시계획 기본요소는 지방의 도시에서부터 시작되고 이러한 도시문화가 국가의 큰 특성을 만드는 것이다. 경관조명 역시 그 지역의 특징적 정체성을 나타내야 경쟁력을 높이는 원동력이 된다. 이에 따라 도시 경관조명의 방식도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에서 직접 참여하고 즐거움을 누리는 적극적인 활동으로 발전하면서 경관조명 분야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활성화되고 긍정적인 야간경관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 리옹, 영국 글래스고, 네덜란드 에인트호벤 등 빛의 도시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축제요소로서의 빛은 지역의 이미지 향상 및 홍보 효과를 주며 주민이 참여 및 화합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해주는 등 관광사업 활성화와 더불어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 하지만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경관조명기술의 발전에 따라 긍정적인 요소들이 많이 부각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경관조명의 무분별한 설치 및 부재로 인해 경관조명이 감성적 요소를 살리지 못하고 지나친 밝기를 적용하여 경관을 해치거나 전체적인 계획의 부재로 지역성을 살리지 못하는 부조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 및 빛공해 문제 등 부정적인 요소들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빛공해 관련 자치법규/자료=환경부]

 

빛공해는 B.U.G(Backlight. Up-light. Glare)를 최소화시키는 대책의 한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B.U.G란 후사광, 반사광, 그레어로 나쁜 빛과 비효율적인 빛의 의미를 가진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빛공해 방지법’의 제정을 통해 건강한 빛의 사용과 과도한 조명의 제어를 유도하고 있으며, 서울시를 시작으로 정온하고 효과적인 야간경관의 형성 및 관리를 위해 통합적인 빛의 인프라(Light Infra) 정비를 위한 야간경관 가이드라인이 수립되면서 야간경관의 저해요소를 최소화하고 도시 안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는 효율적 조명계획을 진행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관조명디자인은 관광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국내의 경우 서울시의 ‘디자인서울 프로젝트’를 비롯한 각 지자체의 야간경관 조성사업 등 점차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경관조명디자인은 빛과 어두움의 적절한 조화의 질서를 구축하여 안전하게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며 도시경관 전체를 통하여 빛이 필요한 적정 밝기와 색을 효과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