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마을만들기 협의회장 워크숍/자료=수원시]
1) 참여주체별 역할 수행 및 역량 강화 및 참여 확대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운영, 모니터링과 피드백 과정을 통해 각 마을에 적합한 효과적인 운영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을만들기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각자가 마을의 구성원임을 깨닫는 동시에, 계획 주체로서 참여의지와 관심을 증대시키고 마을만들기 과정에 필요한 의사소통 방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을만들기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과의 만남과 소통을 통해 다른 주체들에 대한 이해와 신뢰도를 높이고, 가장 적합한 해결방안과 대안 마련이 가능해질 것이다.
마을만들기 과정에서는 해당지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이 전과정에 참여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책임감 있게 주민들을 대표하여 의견을 취합하여 전달하고, 주민과 행정 사이에서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주민리더가 반드시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지니고 주민 뿐 아니라 여러 주체 간에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마을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다. 또한 마을지원센터를 비롯한 지역 학교와 학생들, 시민단체, 자원봉사자, 지역 모임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아직까지 마을만들기가 정착되지 못한 현 시점에서는 마을만들기의 계획 과정에서부터 실행에 옮겨지는 전 과정에 대하여 꾸준한 행정적 지원과 전문가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며, 각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한 평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제점과 가능성을 심도 있게 살피고 반드시 피드백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우리마을 실정에 적합하고 유용한 마을만들기 모델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야 한다.
2) 제도적·행적적 지원과의 연계를 통한 지속성 확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성급한 계획 수립 및 무리한 사업 추진은 지양해야 한다. 다른 사업들과는 달리, 마을만들기 사업은 주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가장 중요한 사업인 만큼 단기간의 결과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과 마을만들기 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자리 잡고, 나아가 도시재생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꾸준한 지원과 관심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민들이 세운 마을만들기 계획이 도시계획차원에서 뒷받침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틀을 구축하여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마을계획이 실제 사업화될 수 있도록 주민참여 예산과 결합하는 방법이나 공모사업을 통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마을만들기 지원조례 제정 등 활발하게 법적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나 각 지자체별로 제정되고 있는 조례들에 대하여 중앙부처,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광역지자체에서는 합리적인 기준과 틀을 제공하고 중앙부처에서는 안정적 운용을 위한 법·제도적 정비 및 예산 확보 등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을만들기 과정에는 마을 주민들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특성과 함께 마을의 공간적, 환경적 특성이 다양하게 어우러져 나타나야 하는 만큼 행정기관 내 관련 부서들 간의 연계와 협력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각 분야별 사업화 및 기존 계획 등과의 연계 및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 |
[인천시 마을만들기 활동사례/자료=인천광역시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