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을 통한 안심도시 추진방안 ③

범죄예방 환경설계 시범사업 사례

장희주 기자   |   등록일 : 2015-03-27 12:58:21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지자체: 마포구 염리동 소금길 사업

서울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서울시 디자인’의 첫 번째 사업으로 범죄예방 환경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도시의 범죄율을 낮추는 ‘범죄예방 디자인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첫 번째 시범사업 대상지로 마포구 염리동이 선정되었다. 마포구 염리동은 그 일대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었으나 개발이 지연되어 범죄발생이 증가하는 지역이었다.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여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기존 염리동 주민 센터를 중심으로 주민 자치위원회 활동을 활성화하고 소금길 조성, 담벼락 보수 등 범죄예방 환경설계 기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다.

 

[소금길 안내 지도, 운동법 안내 표지, 보안등·CCTV·번호등/자료=서울시]

 

1.7㎞의 좁은 골목길의 경사로를 소금길로 조성하여 지역주민들을 위한 걷기코스와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공간, 커뮤니티 공간을 겸한 쉼터로 전환하였다. 기존 전신주에 번호를 부여하고 인식이 뛰어난 색상으로 도색하였으며, 방범용 LED조명 내장기능을 통해 야간 신고 시 신고자의 위치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비상벨 등을 설치하여 시설물을 개선하였다. 또한 소금길 운동코스 주변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시 피신할 수 있도록 총 6개의 주택을 소금지킴이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가시성이 강한 노란색 대문으로 되어 있으며, 같은 색의 표시등·비상벨을 설치하고, 일부 주택의 표시등에는 IP카메라를 부착하였다.

 

[소금 지킴이집, 비상벨 위치알림 바닥표시, 비상벨/자료=서울시] 

 

소금길 사업은 범죄심리학자, 범죄예발 환경설계 분야 전문가, 경찰청 관계자, 아동청소년 전문가, 행동심리학자, 커뮤니티디자인 및 서비스디자이너 등 다양한 전문가가 범죄예방디자인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상지역 선정 및 계획안을 자문한다. 소금길 콘셉트가 반영된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안전시설물, 보안등 설치, 벽화그리기 등 특징정직 범죄예방 환경설계 선진사례를 형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앙정부: 국민안전처 안심마을 사업

국민안전처는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1동 등 재해, 범죄 관련 취약지역 10곳을 대상으로 안심마을 사업을 실시하였다. 안심마을 사업은 주민들이 마을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마을안전지도를 제작하고, 설문조사와 안전·위해요소 분석 등을 통해 스스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주민주도형 안전 개선사업이다.

 

 지역명

 주민 활동

 공간환경계획

 서울 은평구 역촌동

- 녹색어머니회

- 재난안전지킴이 운영

- 역촌 복지두레 운영

- 방범 CCTV, 보안등, 비상벨, 반사경, 과속방지턱 설치 

- 담장허물기, 미끄럼방지 포장

- 연령별, 성별 안전지도 제작

- 보행안전 위험물제고, 보(차)도정비, 안전난간대 설치

 부산 연제구 연산동

- 안전지도 맵핑으로 마을 스토리 발굴

- 마을 안전지킴이 운영

- 독거노인

- 통학로 정비

- 소음방지 시설 설치로 연산터널 보행환경 개선

- 연동로 보도 및 공원주변 가로등 설치

 광주 남구 봉선1동

- ‘안심마을 지속발전위원회’ 구성 및 운영

- 부엉이 네트워크 운영

- 주민 안전교육 실시

- 자율방범대, 경찰지구대 간 유기적 협조를 통한

   순찰 사각지대 해소

- 불법주정차 예방 CCTV, 속도저감 효과의 HUMP 설치

-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 일방향 주차면 구획, 안전한 보도 및 방호울타리 설치 

-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경기 수원시 송죽동

- 하교 시 학교 주변에서 교통지도 지원

- 3인1조로 안심마을 내 취약지점 순찰

- 교통 안전을 위한 어머니 폴리스 운영

- 녹색어머니회 운영

- 벽화그리기, 화당조성 등으로 우범지역 환경개선

- 마을입구에 CCTV, 비상벨 설치

- 어린이 등하굣길 정비

- 노후주택 위험시설 개선

 경기 김포시 양촌읍

- 안심마을 만들기 주민교육

- 마을 거점지역을 활용한 커뮤니티 공간 확보

- 안심마을 봉사단 운영

- 걷기 활성화를 통한 자연 감시체계 구축 

- 사각지대 및 밀폐된 공간에 CCTV, 비상벨, 반사경 설치

- 폐가 및 텃밭에 경계울타리 설치

- 노후화 공동주택 출입통제 현관 잠금키 설치

- 주택에 접한 야산에 울타리 설치

 강원 고성군 간성읍

- 주민 행복지킴이 운영

- 포순이 교통안전 지킴이 운영

- 범죄 안심 포순이 지점 운영

- 통합관제센터와 연결된 무선 비상벨 설치

- 보안등 설치, 미끄럼방지 포장

- 학교, 시장 등 성격에 부합한 아트타일 설치,

  벽화그리기로 환경 개선

 충북 진천군 진천읍

- 지역 내 우범지역을 순찰하는 주민방범대 운영

- 안전지킴이 시설을 표시한 안전지도 제작

- 안전시설 점검단 운영

- 빈집철거

- 가로등, CCTV 설피

- 통학로 안전 펜스 등 교통사고 예발시설 구축

- 골목길 보도블록, 노면불량 정비

- 벽화그리기, 정자설치, 쉼터 조성 등 생활환경 개선 

 충남 천안시 원성동

- 마을 안전 감시단 및 학교 안심지킴이

- 마을안전 봉사활동을 위한 두레 제도 운영

- 안전표지판, 스티커 설치 및 위급상황 시 등 표시

- 비상벨, 블랙밧스, CCTV 설치

- 기타 범죄예방 환경개선 사업

 전남 순천시 중앙동

- 학생, 장애인 안전귀가 서비스

- 마을 취약계층, 소외계층 관리

- CCTV 관제센터 구축, 안전지킴이 활동 공간 및 마을주

   민 사랑방 조성

- 안전통학로, 귀가로 조성

- 골목길 진출입부 CCTV 설치

- 골목 위험지역 보안등 설치

 경남 거창군 북상면

- 주민 안전네트워크 구성

- 범죄 취약구역 CCTV 설치

- 위험도로변 펜스 설치

- 사고위험지역 점멸등 설치

- 커브길 반사경 설치

- 안심센터 구축

[안심마을 사례 대상지별 사업 추진내용/자료=국민안전처]

 

안심마을 사업은 범죄로부터의 안전뿐만 아니라 재해, 교통과 관련한 전반적인 안전사고에 대해 다루고 있어 총체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리적 시설 계획뿐만 아니라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 취약 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노후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어 다양한 지역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