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DMZ 대성동 마을 30년 만에 정비

노후주택 보수 등 마을주민의 숙원사업 지원키로

정범선 기자   |   등록일 : 2015-01-13 16:12:00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정종섭 장관이 대성동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는 모습/자료=행정자치부]

 

DMZ(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내에 있는 유일한 민간인 거주지역인 대성동 마을이 지어진 지 30여 년 만에 정비될 예정이다. 이 환경개선 사업은 총 20억여 원을 투입해 이르면 오는 5월부터 대대적으로 시행된다.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의 위치한 대성동 마을은 지난 ’53년 휴전협정 직후 남과 북이 DMZ 내에 민간인 거주지를 하나씩 두기로 합의함에 따라 주민을 이주시켜 조성한 곳으로 일부 지역은 휴전선과 불과 2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마을에는 현재 49세대, 주택 51동에서 207명이 거주하고 있다. 7~80년대 정부에서 주택개량사업을 실시하였으나, 30년 이상의 세월이 흐르면서 주택 곳곳에 균열이 생기고 지붕이 새는 등 주택 노후화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전체 면적이 500만㎡에 달하는 이 마을은 현재 주택과 농경지 대부분이 국가소유로 돼 있고 유엔 사령관 관할이라는 점에서 모든 공사 활동은 유엔 사령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탓에 건물 보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대성동 마을 현황/자료=행정자치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은 1월 9일 DMZ 내 대성동 마을을 방문해 주택과 주요 시설 점검을 한 뒤, 마을 주민들의 오래된 바람인 노후주택 보수 등을 정부와 민간의 참여를 통해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추진 계획으로 ▲행정자치부는 한국해비타트 등 민간 단체, 경기도·파주시 등 관련 지자체와 함께 대성동 마을을 정비하고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보수에 필요한 참신한 아이디어 수렴을 위해 사업 진행 과정을 공개함으로써 보다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주택보수에 필요한 총 비용(20여억 원)은 정부 및 지자체 지원금과 대성동 마을 주민의 자부담을 기본으로 한국해비타트를 통해 국민도 후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이 함께 만드는 마을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동구 대성동 마을 이장은 “집이 지어진 지 30여 년이 지나서 수리할 곳도 많고, 특히 단열이 되지 않아 겨울에는 너무 춥게 지내고 있다”면서 “하지만 정종섭 장관님의 방문으로 10년간 줄기차게 제기했던 숙원이 해결되는 길이 열려 너무 기쁘다. 열악한 주거환경을 견디지 못해 이곳을 떠나려는 주민들이 많았는데 이제는 사정이 많이 달라질 것 같다”고 전했다.

 

정종섭 장관은 대성동 방문에 이어 인근 제1사단을 방문해 국가안보 최일선에서 근무하는 부대장병을 격려하고 안보현장을 시찰했으며, 행정자치부는 정종섭 장관의 DMZ 방문을 계기로 DMZ·접경지역에 대한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14년 12월 개통한 DMZ통합정보시스템(www.dmz.go.kr)은 DMZ·접경지역에 대한 전문정보·여행정보 등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웹 및 앱을 통해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DMZ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등으로 인한 세계적인 관심과 DMZ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영어홈페이지에 이어 올 9월에는 중국어 홈페이지까지 개설할 계획이다. 특히, 중국인으로 하여금 DMZ와 분단 상황 등을 이해토록 해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할 예정이다. ▲DMZ·접경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자원 발굴 및 연구 등을 위해 「DMZ 포럼」을 개최하고, DMZ 내 사라진 마을을 문학적으로 복원하는 사업 등을 통해 남북 동질성 회복을 도모해 나갈 방침이다.

 

정종섭 장관은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DMZ·접경지역의 상징성과 세계사적인 가치를 부각하여 통일한국의 초석을 다질 수 있도록 행정자치부가 앞장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