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정부, 경제2분야 민생현안 해결 총력➁

과기부, 인공지능 등 신성장동력 확보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5-01-17 11:59:52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출처 : 픽사베이>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 등 핵심전략기술 경쟁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와 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을 총력 지원한다. 또한 연구개발성과가 산업화로 이어지는 범국가적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을 추진한다.

 

첫째, AI기본법제정(202412)을 계기로 AI컴퓨팅 인프라를 조기 확충하고,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재정적, 제도적 지원정책을 본격화한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사업공고, 1) 등을 담은 ‘AI컴퓨팅인프라 종합대책1분기에 수립한다. 8,100억원의 정책펀드를 조성하여 AI신산업을 지원하고, AI 기술개발 세제지원도 강화한다.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AI기본법의 하위법령을 상반기 중 조기 완료한다. AI안전연구소를 중심으로 딥페이크 등 AI위험을 관리하고, ‘AI행동정상회의를 통해 서울선언가치(안전혁신포용)를 공유하는 등 글로벌 공조·연대를 강화한다.

 

둘째, 주요국의 첨단기술 보호기조에 대응하여 신산업규제안보 등 전략기술 육성체계를 재정비하고 3대 패키지 등을 공세적으로 지원한다. AI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등 게임체인저 분야 ‘5개 플래그십 R&D 프로젝트를 착수하고, 1조원 규모의 과학기술 혁신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R&D 기업 매칭비율 완화 등 특례를 적용하여 전략기술 혁신기업을 지원한다.

 

첨단바이오 시장선도를 위해 ‘AI바이오혁신전략을 수립하고, 1,000큐비트급 양자컴 개발 등 양자기술 경쟁도 대응한다. 이와 함께 12대 국가전략기술 등 선도형R&D 규모를 2025년 정부R&D29.7%에서 202735%까지 확대한다. 또한, 한미 고위급 채널을 통해 美 新정부와의 전략기술연대를 강화하고, 환태평양 연구협력 이니셔티브 추진 등 기술선도국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셋째, 디지털 안전을 확보하고,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작년 10월부터 운영 중인 디지털서비스 민생 지원 추진단을 중심으로 민생 안정에 총력을 기울인다. 판로개척, 디지털 기술지원 등 플랫폼·통신사와 소상공인 간 상생협력을 촉진하고, ‘알뜰폰 경쟁력 강화방안등을 통해 통신편익을 확대한다. 통합적 재난대응 법체계를 위해 디지털안전법제정(2025.하반기)을 추진하며,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대량 악성문자 사업자 퇴출 등 민생범죄는 단호하게 원천 차단한다.

 

넷째, 연구개발 성과가 산업으로 이어지도록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을 혁신한다. 이를 위해, 금년 3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R&D 기술사업화 전략을 수립한다. 기술별 대표 출연연(ETRI, 생명연 등)을 전문화·특성화하여 기술사업화 전담거점하고, 대형기술이전, 딥테크 창업·투자 등을 담당하는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를 육성하는 한편, 부처별로 기술성장, 창업 단계별 지원기능을 통합·연계하여 단절 없는 지원·육성 트랙을 마련한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