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조경과 건축의 심리적 효과③

공공 공간에서의 사회적 연결과 조경의 역할

차혜련 기자   |   등록일 : 2025-01-24 09:49:1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뉴욕 하이라인 <출처 : 위키피디아> 

 

현대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개인 간의 물리적, 정서적 거리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공간에 몰두하며,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공공 공간은 사람들을 연결하고, 공동체 정신을 회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조경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공공 공간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자리 잡으며, 사람들이 상호작용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1. 공공 공간과 사회적 연결

 

- 현대 사회에서의 사회적 고립 : 도시화와 기술 발전은 삶의 편리함을 가져왔지만, 개인주의와 고립을 가속화했다.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기기를 통해 소통하지만, 물리적 만남과 대면 상호작용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고립감은 스트레스와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키며, 공동체와의 단절을 심화시키고 있다.

 

- 공공 공간의 회복 역할 : 공공 공간은 사람들이 모이고, 상호작용하며,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런 공간은 도시 생활의 단조로움을 줄이고, 지역 사회의 활력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원, 광장, 놀이터, 커뮤니티 정원 등은 단순히 머무르는 장소를 넘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2. 성공적인 공공 조경 사례

 

뉴욕의 하이라인 : 하이라인은 뉴욕의 폐철로를 복원하여 공공 공간으로 전환한 성공적인 사례이다. 이곳은 녹지와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공간으로, 매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방문한다. 산책로와 벤치, 조경 설계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만나고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하이라인은 단순한 공원이 아니라, 도시의 새로운 사회적 연결 지점으로 자리 잡았다.

 

서울의 서울로7017 : 서울로7017은 도심 고가도로를 공원으로 탈바꿈시킨 프로젝트로, 조경과 공공 공간이 결합된 대표적 사례이다. 녹지와 벤치, 산책로가 조화를 이루며,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여 시간을 보내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곳은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까지 끌어들이며, 도시의 새로운 커뮤니티 허브로 기능하고 있다.

 

베를린의 템펠호프 공원 : 독일 베를린의 템플호프 공원은 이전 공항 부지를 녹지 공간으로 전환한 사례이다. 이곳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공 공간으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운동, 피크닉, 문화 활동을 즐기며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넓은 녹지와 조경 설계는 지역 주민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유대감을 제공한다.

 

 

3. 조경 설계가 사회적 연결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 건강한 공동체 형성 : 조경이 잘 설계된 공공 공간은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자연 속에서 더 편안하게 대화하고 교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뢰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 세대와 문화 간의 연결 : 조경은 다양한 연령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 놀이터와 노인들을 위한 산책로가 함께 배치된 공원은 세대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 : 녹지와 조경은 단순히 심미적 역할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사람들에게 자연과의 연결감을 제공하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체감할 기회를 제공한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