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으로 한파에 직접 영향을 받는 야외 건설근로자‧이동노동자를 위한 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도 실시해 한파에도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을 보호한다.
우선 야외 건설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공사장 현장 점검을 추진한다. 시 발주 공사장은 외부 전문가와 함께 현장별 월 1회 이상 안전대책을(휴게장소·안전조치·건강관리) 집중 점검한다. 민간공사장 1,600여 개소에 대해서는 시 중대재해감시단 10개 반 20명이 하루에 2곳씩 매일 20곳을 점검하며 수시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인한다.
칼바람에도 쉴 곳이 마땅치 않은 이동노동자를 위한 ‘찾아가는 쉼터’도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운영한다. 캠핑카를 활용해 고속버스터미널역 등 이동노동자가 많은 20여 곳에 찾아간다.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로 협약을 맺은 이마트24 편의점(9백여 곳)도 휴식공간을 공유한다. 12월에는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등과 함께 이동노동자에게 안전용품을 직접 배부하는 민관합동 안전 캠페인도 전개한다.
시는 수도·전력·가스 등 생활 필수 에너지를 중단없이 공급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하고, 지하철·버스·따릉이·택시 등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점검‧정비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겨울 대비 제설 및 난방시설 등 구비 실태를 점검하고, 피해 발생에 대비해 자치구‧농업기술센터 등 관계기관과 유기적 연락체계를 가동한다. 온열기구 사용이 잦아진 만큼 전통시장의 화재 안전관리 지원도 지속 추진한다.
전통시장 화재 발생 시 소방서로 자동 통보되는 화재알림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있으며, 노후 전기시설을 정비는 물론, 147개 시장에 대한 화재공제 가입비용(점포당 최대 163,360원)을 연중 지원하고 있다.
김성보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일상화된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한파나 대설이 올 수 있는 만큼 올겨울 서울시는 모든 역량과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해 시민의 안전을 지키겠다”라며 “특히 한파 취약계층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책을 세심히 추진하고, 도심 속 온기를 더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공간과 시설도 폭넓게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