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 개선방안’ 발표➀

직·주·락(職·住·樂)이 어우러진 ‘미래첨단산업 공간’ 목표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4-11-08 11:05:22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시가 정비유형 재구화 및 복합개발 확대를 허용하기로 했다. <출처 : 픽사베이> 

 

그동안 경직된 제도와 과도한 규제로 개발이 더뎠던 준공업지역 개발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도심 변화를 반영해 제조업 중심공간에서 직··락이 어우러진 미래첨단산업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정비유형 재구조화 및 복합개발 확대 허용 준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용적률 상향 및 체계 개편 토지이용 현황 및 계획을 고려한 용도지역 조정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준공업지역 제도 개선방안을 지난 7일 발표했다.

 

지난 2월 발표한 오세훈표 서울 대개조 1서남권 대개조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후속 실행방안이다.

 

시는 준공업지역이 82%를 차지하는 서남권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미래산업을 유치하고, 준공업지역 내 산업·문화 등 다양한 기능의 융·복합시설과 공동주택 건립시 용적률을 최대 400%까지 완화하는 등 준공업지역 제도 혁신을 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준공업지역은 60~70년대 소비제조산업 중심지로 국가 성장을 주도했으나 현재는 낙후되고 침체된 곳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현 준공업지역에 대한 개발 및 운영 제도는 지역 여건과 산업환경 변화 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않아 제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현재 서울에는 영등포, 구로, 금천, 강서, 도봉, 성동 등 총 19.97규모의 준공업지역이 지정되어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