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택지개발지구(인천검단·김포한강2기 신도시, 부천대장3기 신도시 등) 위주로 이동속도가 빠른 광역철도 노선을 확충하고, 서울 도심권으로의 환승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도시철도망을 연장한다.
(5호선 연장) 서울 방화역에서 검단신도시, 김포 한강신도시1·2를 연결하는 5호선 연장사업은 지난 8월 22일 신속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예비타당성조사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완료될 수 있도록 관계 당국과 협의하고, 2031년까지 준공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5호선 연장사업 개통 시까지는 국비를 지원(2026년까지 153억)하여 김포골드라인 열차를 총 11편성 증편한다. 2025년 1월까지 총 6편성을 투입하여 배차간격을 2분 30초로 단축하고, 2026년 말까지는 5편성을 추가 투입하여 배차간격을 2분 10초까지 단축할 예정이다.
(대장~홍대선) ‘부천 대장지구~화곡역5호선~가양역9호선~홍대입구2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을 잇는 ‘대장~홍대선’ 민자사업은 ’2030년 말(대장지구 입주율 50% 시점) 개통을 위해 연내 착공에 돌입할 계획이다. 대장지구에서 홍대입구까지의 이동시간을 46% 단축한다.
(7호선 청라연장) 공사 중 지반침하가 발생한 7호선 연장사업은 단계적 개통(1단계 2027년 하반기, 2단계 2029년)을 추진한다. 청라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7호선까지 이동시간이 약 46% 단축)되고, 고속터미널역3·7·9호선까지 환승 없이 연결된다.
(인천1호선 검단연장) 인천도시철도 1호선 종점을 계양역인천1호선, 공항철도에서 인천 검단지구까지 연장하는 사업으로, 내년 6월 개통한다. 검단신도시에서 계양역까지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12분 단축된다.
인천 1호선 개통 전까지는 검단신도시와 인근 지하철역(계양역 등)까지 운행 중인 DRT를 계속 운행하여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
□ 철도 차량 증편, 광역버스 신설, BRT 등 대중교통 수송력 증대
혼잡도가 높은 철도 노선 위주로 차량을 증편하고 지역 여건에 맞게 버스를 공급하는 등 대중교통 수송력을 높이고 혼잡을 완화한다.
(9호선·7호선 증편) 혼잡도가 높은 9호선과 7호선에도 한시적으로 국비(2027년까지 140억)를 지원하여 증편한다. 2027년까지 9호선에는 4편성, 7호선에는 1편성을 투입한다.
(버스 노선 신설) 검단, 청라, 김포 등 인구밀집지역으로서 서울 주요거점으로의 광역 수요가 많은 지역에는 신규 노선을 신설한다.
(인천) 검단신도시(M6457)1) 및 청라(M6458)2)에서 강남으로 직행하는 광역급행버스 2개 노선을 최초로 신설한다.
1) M6457번(검암·검단신도시~강남역, ’24.5~), 1일 3대 15회 운행
2) M6458번(청라~양재꽃시장, ‘24.6~), 1일 2대 8회 운행
▲인천 기점 노선도(M6457번, M6458번) <출처 : 국토부>
(김포) GTX-A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 개통(2024.12월)에 맞춰 김포에서GTX-A 킨텍스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 2개1)를 신설한다. 또한 서부지역 주요 환승역(당산역2,9호선, 상암DMC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을 종점으로 하는 광역버스 노선 2개2)를 신설하여 김포골드라인 수요를 분산한다,
1) 33번 월곶공영차고지~장기역~운양역~킨텍스역 / 33-2번 김포차량등록사업소~사우역~킨텍스역
2) 6601번 현대프라임아파트~당산역(’24.6~), 6701번 김포홈플러스~상암DMC(‘24.9~)
▲김포 기점 노선도(33번, 33-2번, 6601번, 6701번) <출처 : 국토부>
(BRT 확대) ‘인천계양~김포공항 BRT’을 신설해, 인천 계양지구에서 핵심 거점역인 김포공항역공항철도, 5·9호선 등까지의 대중교통 접근 편의를 개선한다. 또한, 현재 7700번 BRT 전용버스만 운행하고 있는 청라~경기 부천~화곡역5호선 구간 BRT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 노선버스를 추가 운행하는 방안을 마련(2025년, 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