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북을 탄소‧수소산업 및 첨단해양자산장비산업 등 첨단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한다. 또 이차전지‧바이오 분야의 인력을 양성하고, 기술개발을 확대한다. 새만금 지역의 산업용지 확대 방안도 모색한다.
정부는 지난 18일 전북 정읍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스물일곱 번째, “新서해안 시대를 여는 경제 전진기지, 전북”」을 개최하고 전북을 탄소산업‧수소산업 및 첨단해양장비산업 등 첨단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 첨단산업의 핵심 거점 육성
정부는 전북의 탄소산업 역량을 강화한다.
국내 최대의 탄소섬유 생산지인 전북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있고, 탄소소재 소부장 특화단지로도 지정된 바 있다. 현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진행 중인 우리나라 탄소소재·부품산업의 중심지이다.
탄소산업은 우주항공, 모빌리티 등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소재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탄소소재·부품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커 나갈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기반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부터 총사업비 1,000억원 규모의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이를 통해 우주항공방산, 모빌리티, 에너지 등 핵심 수요산업에 활용될 탄소소재 응용기술, 부품 등을 개발한다. 이번 사업에는 전북에 위치한 다수의 기업, 연구기관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 UAM, 연료전지 등의 분야에서의 탄소소재 사용 확산을 지원받기 위해 전북에 탄소소재·부품 테스트베드를 올해 중으로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공기정화 장치 등에 사용되는 다공성 탄소소재를 제조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설비 등도 구축할 계획이다.
□ 완주 수소상용차 신뢰성 검증센터 등 미래차 전환 지원
▲완주 수소상용차 신뢰성 검증센터 조감도 <출처 : 국토부>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강화되는 가운데, 각국은 긴 주행거리와 높은 차량 중량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내연기관 대형 상용차를 전기차와 수소차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는 전북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상용차 산업이 친환경차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인프라 등의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북은 현대차, 타타대우, KGMC 등 다수의 기업들이 상용차를 생산하는 지역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차 넥쏘를 출시하고, 2020년 세계 최초로 수소트럭을 선보이며 수소차 산업을 선도하지만 내연기관차와의 가격 차이, 수소인프라 부족 등이 수소차 시장 확대를 저해하고 있다.
정부는 수소차의 시장성 확보와 세계 수소상용차 시장 선점을 위해 연료전지시스템, 액화수소저장용기 등 핵심 기술개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며, 올해에는 수소상용차용 대용량 연료전지시스템 개발 등에 490억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완주에는 2026년까지 240억원을 투입해 국내 최대 규모의 차대동력계 시험장비 등 수소상용차 개발에 필요한 시험평가장비를 갖춘 「수소상용차 신뢰성 검증센터」를 구축해 부품업계의 기술개발 역량을 제고하고 시제품 제작 등을 통해 기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수소차 핵심기술에 대한 R&D 지원과 함께 수소상용차의 단위 부품에서 실제 차량까지 검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세계 시장 선점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고, 산업 전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상용차 부품기업들이 수소상용차 산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