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촌에서는 낙후지역 주민 및 소상공인의 택배배송 곤란, 택배비 과다, 중소기업의 첨단 보관시설 미확보, 화물차량 운행 등에 따른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농촌이 직면한 물류문제를 로봇‧드론배송 등 첨단 디지털 물류기술을 활용해 해소할 수 있도록 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국토부는 서울과 부산에서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12월 2024년 디지털 물류 실증 지원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 사업목적
기존도시의 교통혼잡, 안전사고 등 물류 문제 개선 및 각 지역의 주민·소상공인·중소기업이 처한 물류관련 문제를 스마트물류 기술을 활용하여 해소
- 농촌·낙후지역 주민 및 소상공인의 택배배송 곤란, 택배비 과다, 중소기업의 첨단 보관시설 미확보, 화물차량 운행에 따른 사고 발생 등
- 공동배송을 위한 물류플랫폼 구축, 로봇·드론배송, 의약품 정온관리 시설 및 차량 지원 등
□ 사업내용
- (신청 대상) 지방자치단체(특·광역시, 도, 특별자치시‧도, 시·군·구)
- (2024년 지원 규모) 본실증 4건 이상, 41억원(국고, 보조율 50%)
디지털 물류 실증 지원사업은 2021년부터 국토부가 추진한 사업이다.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서 다양한 디지털 물류 기술을 실증할 수 있도록 사업비의 50%를 국비로 지원한다. 설명회를 통해 국토부는 디지털 물류 실증 지원사업 소개, 공모 및 평가 절차에 대해 국토부에서 설명하고, 사업을 운영하는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과 그간의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2024년도 사업은 2023년 11월 29일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공모를 실시했고, 지자체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서면 및 발표평가를 거쳐 4~5곳을 선정했다. 사업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되나 선정 사업당 평균 약 10억원 국고 보조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