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빛의 향연, 미디어파사드’

‘미디어파사드의 개념 비교’②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4-02-22 17:07:44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건축물 장식조명, 송파 책박물관 <출처 : 서울시> 

 

1. 건축물 장식조명

 

건축물의 장식조명은 조명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호이슬러(Haeusler, 2009)는 이러한 건축물 장식조명이 강조, , 분위기 세 가지 속성을 가지지만, 미디어파사드는 이에 더해 역동성을 가진다고 규정했다. 이 역동성은 색이나 빛의 단순한 움직임이 아닌 그래픽, 이미지, 문자 등의 영상을 표출해 도시문화 형성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어반 스크린 <출처 : 어반 스크린> 

 

2. 어반 스크린(Urban Screen)

 

어반 스크린 이니셔티브(Urban Screen Initiative)에 따르면 어반 스크린은 도시 공간 내 시각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유형의 역동적인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이는 건축물의 지능적인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넓은 의미의 정의와는 다르게 체르토이(Tscherteu, 2010)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어반 스크린은 건축 파사드와 통합되지 않은 채 독립적으로 분리되거나 지지되는 스크린의 유형으로 인식된다. 즉 어반스크린은 건축물과의 통합 여부나 관계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으로 야립 광고판과 같이 건축물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다. 이는 건축물의 파사드와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미디어파사드와 차별성을 가진다.

 

 

 


 ▲도산대로 강남빌딩 LED전광판 <출처 : IDINCOM>

 

 

3. 전광판

 

전광판은 옥외 또는 옥내에 설치되어 광고의 수단 및 각종 정보 안내로 이용되는 대형 전광류 시스템을 의미하며, 어반 스크린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 전광판은 옥외광고물로 성격이 규정되어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서비스와 상품 등의 주요 광고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건축물 파사드의 도시적 기능에 의해 대중이 공유하는 문화적 접점으로서 이해되는 미디어파사드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디지털사이니지 도입 사례 <출처 : 삼성>

 

 

 

관련용어

미디어파사드의 차별성

건축물 장식조명

건축물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향상하는 조명

도시문화 형성에 기여하는 영상 표출

어반스크린

건축물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대규모 스크린

건축물과 일체적으로 설치

전광판

광고를 표출하는 시각전달매체

파사드의 도시적 기능에 의한 문화적 속성

디지털 사이니지

디지털디스플레이를 통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매체, 사회적으로 광고 매체로 인식

개념적으로는 옥외에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일환

 

4.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채송화(2012)에 의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상업 공간이나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엔터테인먼트, 정보,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뜻하며 기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IT기술이 접목되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정보매체를 일컫는다. 개념적으로 미디어파사드는 옥외에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