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10년 정체 가리봉 지구, 도시재생 추진

공방, 창작공간, 역사문화자원 체험프로그램 등

유지혜 기자   |   등록일 : 2014-09-22 17:23:2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료=서울시]


2003년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되고 2005년에는 ‘디지털비즈니스시티’로 개발하려 했으나 주민갈등과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10년간 멈춰있던 구로구 가리봉동 일대에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주민 뜻에 따라 일대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의 지구지정 해제를 추진하고 전 단계로 계획을 환원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내 35개 뉴타운 중 뉴타운 지구 전체를 해제한 첫 사례 창신·숭인 일대에 이어 두 번째 뉴타운 지구 해제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사업시행자인 LH공사는 가리봉사업 포기를 최종 통보했고, 주민 의견 수렴 결과 토지등소유자 32.49%가 사업 추진을 반대했다. 이로써 도시관리계획은 지구지정 이전 단계로 환원, 건축제한이 사라져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주택 개량 및 신축 등 개별적인 건축을 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가리봉지구 해제와 함께 △소통+경청 △지역경제+일자리 △주거환경+편의시설 △안전+치안 이란 4대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중국 조선족 동포가 가리봉 인구의 약30%를 차지하는 만큼, 중국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 간 문화적 통합을 도모하고 치안 및 안전을 우선 확보하는 가운데 ‘다문화가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는 동네’를 만들어 나간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중국동포시장, 연변거리상가 등도 조성되면서 새로운 주거 집단정착지로 형성됐지만 상업 활동 장소에서는 중국 조선족 동포만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무단쓰레기 방출, 음주로 인한 물의 등의 문화적 충돌이 심해지는 등 내국인과의 다문화의 통합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선 서울시는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 수렴하는 '현장소통마당', 주민 소통·경청의 장인 '주민협의체'를 각각 구성해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간의 문화적 통합을 도모한다. 중국동포시장과 연변거리 등은 시설현대화 및 특성화를 통해 차이나타운과 같은 지역명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고, 주민과 동포가 함께 소통하며 어울릴 수 있는 건강가족통합센터(다문화아동센터, 작은 도서관, 주민센터 등) 건립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첨단디지털단지로 탈바꿈한 구로와 가산디지털단지 사이에 위치한 입지 특성을 살려 디지털단지의 배후지원거점으로 조성하고, IT관련 청년창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벌집촌 체험거리’도 조성해 산업화시대 공단근로자들의 고달팠던 삶의 흔적을 시민과 공유하고, 청년공공건축가들에겐 공예방과 창작 공간 등의 활동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신·구의 多문화가 어우러진 가리봉만의 독창성 있는 풍경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노후불량주택은 깨끗하게 살 수 있는 주거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기반시설 등 편의시설은 조속한 보수 및 개량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개선해 나간다. 그밖에 가리봉동의 치안과 안전 확보와 관련해선 골목길 보안등 설치 및 CCTV 증설, 안전보안관 배치, 범죄환경예방설계 적용 등을 추진함으로써 아이와 여성이 안전한 도시로의 변화를 시작한다. 물리적인 정비를 넘어 가리봉지역만의 고유한 자산과 공동체를 보전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경제·문화의 통합적인 재생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 진희선 주택정책실장은 “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현장소통마당'을 금년 내 설치하고 그 동안 도시 관리에서 소외된 부분을 찾아 주민의 뜻을 반영한 도시재생을 추진 하겠다”며 “多문화가 多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가리봉동의 도시재생이 이뤄지면 디지털단지 배후 기능으로 옛 역할을 다시 찾고 지역경제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