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도시의 아름다운경계선, 스카이라인④

‘해외 주요 스카이라인2’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3-10-23 13:39:06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 센트럴 시드니 전경 <출처 : 픽사베이>

 

일반적인 높이규제에 대한 방식은 없으나, 지역별 구체적 마스터플랜에 의해 높이규제를 실시하는 도시는 시드니, 싱가포르 등이 있다.

 

시드니는 커뮤니티 공간, 공원 및 보행가로의 일조 확보와 보존 지역의 경관확보를 위해 셋-백과 전면 가로 벽 높이제한 및 일조확보 경계면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도시 전체를 지역 특성에 따라 구역별로 나눠 높이 마스터플랜을 작성하고 있다. 높이는 90년대에 계획된 시드니 지역계획과 구역별 용적률을 근거로 지역 여건을 반영해 지구별 높이 제한을 최고 235m까지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했다.

 

싱가포르는 전체 55개 구역에 대해 마스터플랜의 높이 계획이 장기적인 계획에 부합하도록 도시재개발청(URA)이 높이 설정기준과 용적률을 정하고 있으며, 5년마다 개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부산과 유사하게 보이는 구릉지의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도시 스카이라인에 대해 자부심이 강한 도시로서 자연적 특성인 구릉지를 강조하며, 정상부에 더 높고 대각선 폭이 좁은 건물이 들어서고 바다 쪽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건물높이를 적절하게 제한했다.

 

특히 구릉이나 부근의 매시브한 건물이 블록경관이나 자연지형, 그리고 도시 특성을 저해할 수 있어 폭과 높이를 제한함을 기본으로 정하고 있다.

 

해외 도시 스카이라인의 관리방식을 분석하면 스카이라인 형성과 도시 이미지를 위해 각 도시는 지리적 위치, 경제활동, 지형, 도시규모 및 기능 등을 고려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및 관리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는 스카이라인 형성과 도시 이미지 등 도시경관 관리방향을 토대로 건축물의 높이를 관리함을 뜻한다.

 

또한 도시의 다양한 변화와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개별 건축물 중심의 일률적인 기준이 아닌, 유연성 있는 계획적 높이기준을 마련한다는 공통된 사항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통사항을 실현하기 위한 해외의 도시 스카이라인 관리방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특성에 따라 스카이라인에 대한 관리방식이 다양한 양상 등을 보인다. 이는 건축물 높이의 계획적인 관리를 위해 원칙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지구차원의 높이기준을 마련함을 의미한다.

 

둘째, 도시경관 관리차원에서 높이관리를 위해 규제에서 기준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도시 특성에 적합한 예측 가능한 높이 설정, 합리적인 높이 설정 등을 통해 바람직한 높이관리의 틀을 제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건축물의 용도와 개발 규모와의 관계를 통합적 관점에서 행정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는 도심지역들을 지구 특성별 세분화해 건축물의 용도규제와 개발용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